[포스코특집④] 철강을 넘어, 미래를 여는 지속가능 기업으로
2025년, 창립 57주년을 맞이한 포스코가 미래 대응 전략을 명확히 제시하며 새로운 전환점에 나섰다.
연초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지금은 생존과 성장이 동시에 위협받는 절박한 시점”이라고 진단하며, 기술력과 조직역량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바꾸자는 담대한 비전을 선포했다.
장 회장은 지정학적 긴장과 경제블록화, 글로벌 수요 위축이라는 복합 위기 상황을 냉정하게 분석하며, 포스코그룹이 맞닥뜨린 환경은 단순한 경기침체가 아닌 패러다임 전환기임을 강조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이후 글로벌 무역장벽이 강화되고, 중국 내수 회복 지연과 공급 과잉은 포스코의 핵심 수요처를 위협하고 있다.
여기에 원화 약세로 인한 고비용 구조 고착화는 포스코그룹의 수익 기반 자체를 흔드는 변수다. 장 회장은 “이 같은 위기는 경쟁사에게도 동일하게 주어진 조건이며, 결국 대응 전략이 기업의 미래를 결정지을 것”이라고 밝혔다.
◇ “철강을 넘어, 소재와 에너지로…미래를 여는 기업의 조건”
창립 57주년을 맞은 포스코는 ‘철강기업’을 넘어, 그룹 시너지를 통해 ‘미래소재 기반의 초일류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고망간강, 이차전지소재, LNG 밸류체인, 수소환원제철 등에서 증명된 기술력과, 그룹 시너지를 통한 확장성은 단순 제조업을 넘어 새로운 산업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포스코는 2024년부터 미래성장을 견인할 신사업 도메인을 설정하고, 각 분야의 기술성·시장성·그룹 시너지 가능성 등을 평가하며 구체적인 사업 아이템을 발굴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 ‘AI와 데이터센터 급증’, ‘도심 재생’, ‘방산·항공우주산업 성장’, ‘수소경제 도래’, ‘탄소중립 시대’ 등의 트렌드는 모두 소재 기반 산업의 고도화와 직결되며, 포스코가 가진 핵심 역량과도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고기능 구조소재 ▲차세대 에너지소재 ▲친환경 도시인프라 ▲미래 교통체계 대응소재 등을 중심으로 신규 사업모델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기후위기와 자원 위기, 지정학 리스크는 기업 경영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 포스코는 단순히 수익성과 기술력만이 아니라, 지속가능성·윤리성·사회적 가치 창출까지 아우르는 ESG 경영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안보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면서, 포스코인터내셔널의 LNG 개발 및 도입, 저장 인프라 운영은 단순 기업활동을 넘어 국가 기반시설의 일환으로 작용하고 있다. 장 회장은 “미래 산업은 기술과 신뢰, 지속가능성이 결합된 형태로 진화할 것”이라며, 그룹의 가치 중심을 재정의했다.
포스코가 독자 개발 중인 수소환원제철(HyREX) 기술은 장기적으로 그룹의 ‘탄소중립’ 실현을 가능케 하는 핵심 프로젝트다. 수소를 통해 철광석을 직접 환원하는 방식은 기존 고로공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탄소배출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하이렉스는 기술적으로 아직 실증단계에 있지만, 전기로, CCUS 등 브릿지 기술과 병행해 단계적 탄소중립 전환 시나리오를 현실화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ESG 선도 기업으로 인정받기 위한 전제 조건이기도 하다.
포스코그룹은 ‘과거의 성공방정식’에 안주하지 않는다. 철강 중심의 공급체계는 이차전지소재와 에너지로 확장되고 있으며, 기술력은 글로벌 규제와 수요에 맞춰 다각화되고 있다.
장인화 회장은 “포스코그룹은 이제 미래를 여는 소재로 인류의 번영에 기여하고, 당면한 위기를 넘어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할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기술과 사람, 조직과 문화, 신뢰와 책임이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기업은 시대를 이끌 수 있다. 포스코그룹은 지금, 그 여정을 실천하고 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