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A “中 철강 소비량 정점, 향후 10년 간 8,000만 톤 감소”
허 원보(He Wenbo) 중국철강협회(CISA) 회장은 최근 상하이에서 열린 회의에서 “중국의 철강 소비량이 정점에 이르렀으며, 앞으로는 필연적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025년 중국의 철강 완제품 소비량, 조강 소비량, 조강 생산량이 각각 8억7,000만 톤, 9억1,000만 톤, 9억5,0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중국철강협회에 따르면 2030년까지 중국의 조강 소비량과 조강 생산량은 각 5,000만 톤 감소해 8억6,000만 톤, 9억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2035년까지 중국의 조강 소비량과 조강 생산량은 각 8억2,000만 톤과 8억5,0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철강 완제품 소비량은 향후 10년 간 8,000만 톤 감소한 7억9,0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조강 생산량, 조강 및 철강 완제품 소비량 감소는 중국의 경제 성장에 따른 SOC 투자처 감소,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주택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철강 수요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허 회장은 “현재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조강 생산량과 철강 완제품 생산량은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2023년 1~11월 중국의 조강 및 철강 완제품 생산량은 각 9억5,200만 톤, 12억5,300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5.7% 증가했다.
한편 중국의 철강시장 전문가들은 2024년 중국의 조강 소비량이 전년 대비 0.2% 소폭 증가한 9억4,46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조강 공급에 따라 철강업계의 수익성이 달라질 수 있고, 2024년 철강제품의 가격 범위도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2023년 중국의 철강 생산 증가와 함께 부동산 부문의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중국 철강업계의 수익성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중국철강협회에 따르면 2023년 1~9월 중국 주요 철강기업의 총 매출액은 4조6,600억 위안(6,500억 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621억 위안(86억5,000만 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34.11%나 감소했다.
허 회장은 “중국 철강업계는 내년도 수익성 개선을 위해 제품 가격을 인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감산 조치를 통해 철강 공급을 줄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