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중후판 수출 105만 톤…수입은 3년 만에 최저
무역·통상
2025-05-07
올해 들어 중후판 수출이 견조한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수입은 40% 가까이 줄며 국산 강재 수요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올해 중후판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한 105만 톤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37.5% 줄어든 50만 톤대로 급감했다.
수출은 4월 들어 소폭 조정됐지만, 중국·인도 등 일부 시장에선 회복세가 이어졌다. 인도 수출은 전월 대비 85.9% 늘었고, 중국향 수출도 30% 이상 증가했다.
수입은 중국산 급감이 두드러졌다. 4월 중국산 수입은 전월 대비 55% 줄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67.4%나 감소했다. 일본산 역시 소폭 감소하며 전체 수입량은 큰 폭으로 줄었다.

#수입
#40%
#가까
#줄며
#국산
#강재
#수요
#긍정적
#영향
#일본산
#역시
#소폭
#감소
#전체
#수입량
관련 뉴스
무협, 아프리카-중남미-아세안 등 新 시장 공략 가속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어 하노이·상파울루 새 거점 확보
10월 대(對) 베트남 철강 수출 급감
전년동월比 29.5%↓, 1년7개월 만 첫 감소2023년 1월 이후 최대 감소폭
韓-EU FTA 상품무역위원회 개최…“철강 신규 규제 우려, 우호적 해결책 마련” 강조
제13차 한-EU FTA 상품무역위원회 13일 서울서 개최…2026년 철강세이프가드(TRQ) 언급“CBAM·철강TRQ·CSDDD 등 규제서 FTA 체결국인 ‘韓 기업’ 역내 기업과 차별 두어선 안돼”
11월 수출입 흐름, 철강 ‘마이너스 전환’…중국발 수입 20% 급증
반도체·자동차 선전 속 철강제품 13% 감소중국산 수입 19.9%↑, 에너지 수입은 28%↓
- ■ 유정용강관, 10월 수출 감소에 대안 마련 필요
- ■ 10월 중후판 수입 11만톤…전월 대비 45% 급감
- ■ [이슈] 반덤핑 이후 ‘대만산 열연’ 약진…수입 구도 바뀌었다
- ■ ‘韓 철강 경고등’ 10월 수출, 3년 내 최대 감소
- ■ [표] 10월 열연강판 수출입
- ■ [표] 10월 중후판 수출입
- ■ 美 고관세도 뚫었다…지난달 미국향 철근 수출 '폭증'
- ■ 10월 수출, 반도체 호조 속 제조업 격차 심화…관세·단가하락 겹쳐 철강 20% 이상 급감
- ■ STS CR 수출, 단가 하락에 ‘수익성 적신호’
- ■ 중소·중견기업계, 韓美 통상합의 ‘환영’…철강·알루미늄·파생상품 관세 유지에 지원요청
- ■ STS HR, 3분기 물량 분기별 ‘최대’ 기록…수출 단가는 ‘뒷걸음질’
- ■ 日·베트남산 H형강 감소세 지속…중국산 기저효과 '증가 전환'
- ■ 올해 대체 시장 노릇 톡톡히 하는 브라질
- ■ 유럽 집행위, 중국·대만·인도네시아산 STS평판압연 제품 AD 조사 착수
- ■ 철강, 다시 하강 곡선…10월 수출 18% 감소
- ■ [표] 9월 철강 품목별 수출입
- ■ 10월 중후판 수입 11만톤…전월 대비 45% 급감
최근 뉴스
- ■ 무협, 아프리카-중남미-아세안 등 新 시장 공략 가속
- ■ K-스틸법 입법 속도 붙는다…국회 상임위 의결
- ■ 고려아연, 10년째 ‘의료취약계층 무료 순회진료’ 후원
- ■ 세진스틸파렛트, 2025 국제기계산업대전서 ‘고강성 스틸파렛트 시스템’ 선봬
- ■ 조업일수 급감에도…하이브리드 車수출로 수요 숨통
- ■ 포스코, 유해가스 사고 관련 공식 사과…“재발 방지에 모든 역량 집중”
- ■ 브라질, 인도 등 아시아 3국 유정용 강관 반덤핑 조사
- ■ 세아베스틸지주, ESG 평가 3년 연속 종합 A등급 획득
- ■ 김성봉 한국정밀 대표이사, ‘올해의 금형인’ 선정
- ■ 中企 86.2% 고령자 고용연장 방식으로 ‘선별 재고용’ 희망...정년연장 13.8% 그쳐
- ■ K-스틸법 입법 속도 붙는다…국회 상임위 의결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