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베스틸지주, 2025년 1분기 매출액·영업이익 전년比 5.4, 15.0% 감소
특수강 제조업체 세아베스틸지주(대표이사 이태성, 김수호)가 4월 29일 2025년 1분기 잠정 실적을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세아베스틸지주의 1분기 연결기준 실적은 매출액이 9,016억7,0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 180억8,500만 원, 52억8,8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0%, 67.1% 감소했다.

우선 글로벌 경기 침체 지속 및 주요 전방산업의 국내 시장 부진 장기화에 따른 특수강 수요 위축으로 주요 자회사의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매출액이 감소했다. 다만 러-우 전쟁 장기화, 중동 지역 불안정, 미·중 경쟁 심화 등에 따른 방위산업 시장 수요 확대 및 글로벌 항공 여객 수요의 완전한 회복 영향으로 알루미늄 소재에 대한 견조한 수요 강세가 이어지며, 세아항공방산소재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모두 증가했다.
그리고 전 분기 대비로는 주요 전방산업 부진 등 어려운 시장 환경이 지속되었지만, 주요 수요처인 자동차 시장의 내수 판매 증가 및 전방위적 영업활동 전개로 2024년 4분기를 저점으로 세아베스틸, 세아창원특수강 등 주요 자회사의 판매량이 회복되며 매출액이 전 분기 대비 8.7% 증가했다. 그리고 적정재고 운영 등 비용 효율화를 통한 원가 절감 노력, 전분기 발생한 주요 자회사의 대규모 일회성 비용 제거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흑자전환했다.
자회사 실적을 살펴보면 세아베스틸의 1분기 매출액은 4,983억3,6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3% 감소했으나 전 분기 대비로는 10.9%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 51억8,900만 원, 18억6,0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 64.7% 감소했으나 전 분기 대비로는 흑자전환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건설, 석유화학 등 특수강 전방산업 업황 부진, 저가 수입재 유입에 따른 판매량 감소 및 철스크랩 등 주요 원재료 가격 약세에 따른 판매단가 인하 영향 등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다만 주요 수요처인 자동차 시장의 내수판매 증가 등으로 특수강 수요 및 판매량 회복세를 보이며 전 분기 대비로는 매출액이 증가했다. 그리고 판매량 회복에 힘입어 고정비 부담이 감소한 가운데, 통상임금 충당금 및 재고평가 손실 등 2024년 4분기 대비 대규모 일회성 비용 제거 등으로 영업이익이 흑자전환했다.
세아창원특수강의 1분기 매출액은 3,493억1,7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22억3,6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했으나, 당기순이익은 69억1,9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2%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 세아창원특수강은 석유화학, 반도체 등 전방 수요산업의 업황 침체 장기화 및 저가 수입재 유입 지속으로 STS봉강 및 STS선재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매출액이 감소했으나,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판매 비중 확대 전략을 통해 영업이익은 증가했다. 그리고 전 분기 대비로는 지난해 4분기를 저점으로 판매량이 회복으로 고정비 부담이 완화되었으며, 통상임금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 제거 영향 등으로 매출액이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한편 2분기 이후에는 대외적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경한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주요국으로 확산되고, 건설 경기 침체 심화 등으로 국내 철강사들의 실적 부진이 지속도리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지정학적 리스크 및 중국의 철강 공급 과잉 등 불확실성 높은 글로벌 철강산업의 경영환경도 지속될 전망이다.
다만 계절적 성수기 진입으로 주요 철강제품의 가격 반등 기대감이 확대되고 있는 데다 전쟁 종식 가능성에 따른 재건사업 수요 증가 예상 등으로 글로벌 철강 및 특수강 수요의 점진적인 회복도 기대된다.
세아베스틸지주는 향후 품질 및 납기 등 경쟁우위 기반의 전략적인 수주활동 전개와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판매 믹스 개선을 통한 기존 시장 내 경쟁력 강화, 신수요 창출을 위한 신규시장 개척으로 수주 다변화에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여 수익성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그리고 공정기술 최적화 및 신공정 기술 개발, 원부재료 조달체계 안정화로 원가 경쟁력을 제고하고 수익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며, 항공·우주·원자력·수소 등 경쟁 우위가 예상되는 고성장 미래 산업 분야에 대한 핵심 소재 공급사로서의 입지 강화를 목표로 선제적인 연구 개발(R&D) 투자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북미·중동·동남아 등 주요 생산 거점 활용 극대화를 통한 시너지 창출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내 지속 성장 기반을 마련하는 동시에 북미·사우디 해외 신설 생산 법인 투자의 적기 진행으로 조기 안정화에 역량 집중하여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