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판] '잠정관세' 기대에도 신중론 여전
국내 후판 시장은 4월 24일부터 중국산 수입재에 대한 잠정 반덤핑 관세가 적용되면서 미묘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정품 국산 후판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지고 있으나, 본격적인 시황 반등 신호를 포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국산 정품 후판 유통가격은 톤당 90만 원 초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수입대응재는 80만 원대 중후반선을 형성하고 있으며, 수입재의 경우 80만 원 중반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잠정관세 부과를 앞두고 신규 오퍼와 계약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 관계자는 “아마 부담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일부 수입업체가 관세 부과 이후 물량 조정에 나서면서 가격 책정에도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수입재 수입이 사실상 막히면서 중장기적으로는 국산 후판이 다시 중심에 설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면서도 “다만 국내 후판 수요 회복이 더뎌, 가격 인상 효과가 본격화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철강업계는 잠정관세 적용을 기점으로 서서히 국산과 수입재 간 가격 차별화가 심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조선, 건설기계, 플랜트 등 주요 수요산업이 제품 발주를 확대할 경우, 유통 가격도 점진적으로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국내 건설 경기 부진이 여전히 변수로 남아 있어, 시장은 '기대와 신중' 사이를 오가는 복합적인 흐름을 이어갈 전망이다.
업계는 5월 이후 수급 변화가 본격화할 경우, 유통가격을 중심으로 시장 분위기에도 점진적인 변동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