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몰 가공몰

2025년 1분기 경강선재 판매 전년比 8.9% 감소

업계뉴스 2025-04-29

일부 완성차 및 조선업 수출 반등에도 고금리 및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따른 건설과 중장비 부문 침체, 산업 공동화와 주력산업 위기에 따른 설비 투자 감소, 트럼프 리스크에 따른 대외 악재 심화 등으로 인해 1분기 경강선재 판매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국내 주요 경강선재 제품 제조업체 6개사(고려제강·만호제강·동일제강·DSR제강·영흥·청우제강)의 2025년 3월 판매실적을 집계한 결과, 경강선재 제품 판매는 3만4,652톤으로 3만2,232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로는 7.5% 증가한 반면 3만7,814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8.4% 감소했다. 1분기 누적 기준 판매는 9만3,126톤으로 10만2,198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8.9% 감소했다.

수요산업 동향을 살펴보면 3월 완성차와 조선,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수출이 증가했고, 자동차부품과 일반기계, 가전과 이차전지, 석유 및 석유화학 제품 수출은 감소했다. 다만 완성차와 조선업의 경우 전기차 등 친환경차 비중 확대, 컨테이너선 인도 완료 및 LNG선박 비중 확대 등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이 높아져 금액 기준 수출은 증가했으나 생산 물량 기준으로는 선재 수요가 오히려 소폭 감소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또한 실제 설비 투자 확대로는 이어지지 못했고, 자동차부품과 일반기계, 가전은 수출 감소가 생산 감소로 이어졌다. 그리고 캐즘과 국제 경쟁 확대로 인해 이차전지와 석유 및 석유화학 플랜트 부문의 수요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또한 고금리와 채권시장 불안, 미분양에 따른 주택시장 침체와 SOC 투자 감소로 국내 건설 경기 장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선진시장의 부진도 지속되면서 국내외 건설 및 중장비 부문의 수요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6개사의 3월 내수 판매는 1만9,340톤으로 1만8,231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 6.1% 증가한 반면, 2만1,095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8.3% 감소했다. 1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5만2,068톤으로 5만8,229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했다. 3월 판매 감소는 자동차 생산 소폭 감소와 건설 부진으로 인해 경강선과 PC강(연)선, 이형PC강봉, 기타제품 판매가 감소했기 때문이며, 1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주력산업 부진에 도금강(연)선을 제외한 전 제품의 판매가 감소했다.

1분기 품목별 내수 판매 동향을 살펴보면 도금강(연)선 판매는 2,917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3% 증가한 반면 와이어로프와 경강선, PC강(연)선, 이형PC강봉, 기타제품 판매는 각 9,863톤, 1만8,121톤, 5,147톤, 2,411톤, 1만3,608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 1.7%, 26.5%, 45.3%, 16.9% 감소했다.

도금강(연)선은 전년도 부진의 기저효과로 판매가 증가했다. 반면 와이어로프는 컨테이너선 인도 완료에 따른 조선 생산 물량 감소 및 건설 경기 부진으로 판매가 감소했고, 경강선 또한 금액 기준 수출 호조에도 친환경차 비중 확대에 따른 자동차 생산 물량 감소로 판매가 소폭 감소했다. PC강(연)선과 이형PC강봉은 건설 경기 침체로 판매가 감소했고, 기타제품은 기계 및 전기전자산업 부진에 판매가 감소했다.

3월 경강선재 수출은 1만5,311톤으로 1만4,001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로는 9.4% 증가한 반면, 1만6,719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8.4% 감소했다. 1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4만1,059톤을 기록하여 4만3,969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했다. 조선업과 신흥국들의 인프라 부문 수출은 증가했으나 제조업 관련 수출은 감소했다.

1분기 품목별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와이어로프 수출은 2만1,43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반면 경강선과 기타제품 수출은 각 1만4,882톤, 4,745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 34.8% 감소했다.

세계 조선업 경기 호조와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한 신흥국들의 인프라 투자 회복으로 인해 와이어로프 수출은 증가했다. 반면 트럼프의 보호주의 강화 및 선진국들의 경기 침체에 따른 자동차 생산 감소, 세계 경제 부진에 따른 제조업 설비 투자 감소와 전자산업 부진으로 인해 경강선과 기타제품 수출은 모두 감소했다.

한편 2분기에는 성수기 진입에도 국내 건설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동시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주의가 강화에 따른 대외 악재 심화로 인해 주요 전방산업의 수출도 둔화되면서 경강선재 판매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조선업 #경기 #호조 #중국 #중심 #신흥국들 #인프라 #투자 #회복 #와이어로프 #수출 #증가했 #한편 #2분기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