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재) 전방산업 둔화·대외 악재에도 수입 증가
비수기에 따른 국내와 주요 수출국들의 건설 경기 부진,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외 악재에 따른 주력산업 경기 둔화로 수요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저가 수입재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선재 시황 약세도 장기화되고 있다.
선재업계의 주요 전방산업 동향을 살펴보면 건설 부문은 아파트 및 상가 미분양과 SOC 투자 감소로 민간시장과 공공시장이 모두 침체된 상황에서 수출국들의 건설 경기 부진도 장기화되고 있다. 그리고 건설 경기의 침체로 인해 중장비 부문의 수요도 급감하고 있다.
제조업 부문은 반도체는 수출 호조로 인한 장비 관련 수요가 증가했으나, 자동차와 조선업은 수출 호조에도 전기차 전환과 구매정책 변경에 오히려 수요가 감소했다. 그리고 전기전자 부문은 생산기지 해외이전으로 수요 감소가 지속되고 있으며, 주력산업 침체에 따른 설비 투자 감소로 인해 기계와 플랜트 부문의 수요 또한 큰 폭의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대외적으로도 트럼프 정부의 통상 압박과 주요국들의 수입규제 강화, 중국의 경기 침체 장기화 등이 겹치면서 수출 수요 감소도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국내외 수요가 모두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저가 수입재는 오히려 증가했다. 6월 선재 수입 물량은 8만5,044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8.0% 증가했고, 중국산 수입 물량은 6만9,967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35.8% 증가했다. 그리고 강선류 수입 물량은 2만6,454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33.5% 증가했고, 중국산 수입 물량은 2만1,611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36.5% 증가했다.
선재업계에서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국내외 수요가 더욱 부진에 빠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저가 수입재 침투를 막지 못할 경우 영세업체들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