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산 후판, 9월에만 7천 톤…“겉은 인니, 속은 중국?”
중국산 후판에 반덤핑 고율 관세가 내려지자, 시장은 곧바로 다른 길을 찾았다. 9월 한 달 동안 인도네시아산 후판이 7천 톤 가까이 국내로 들어오며, 그간 자취를 감췄던 물량이 단숨에 ‘대량 입항’으로 돌아왔다. 값싼 물량도 아닌데 폭증한 이번 흐름은 제도의 빈틈을 노린 우회 통로라는 의혹을 키우고 있다.
지난 9월 인도네시아산 후판의 평균 수입원가는 톤당 84만 원 선으로 국내 수입재 유통가격과 별 차이가 없는 가운데 업계는 이를 두고 “관세 회피 통로가 작동한 것”이라며 긴장감을 드러내고 있다.
철강협회에 따르면 9월 인도네시아산 후판 수입량은 총 6,910톤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일반재 후판이 6,130톤, 88.7%로 사실상 대부분을 차지했고, 고장력재 후판은 250톤, 3.6%를 나타냈다. 기타 품목은 530톤, 7.7% 수준에 머물렀다.

최근 5년간 인도네시아산 후판이 월 수십 톤 단위의 소규모 입항에 그쳤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물량은 단번에 ‘대량 유입’으로 분류될 만한 수준이다.
이번 인도네시아산 후판의 평균 수입단가는 톤당 596달러로, 9월 평균 환율을 반영한 수입원가는 톤당 84만 원 선이다. 같은 시기 국내 수입재 유통가격과 거의 차이가 없어 가격 경쟁력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업계에 따르면 각종 부대비용을 포함한 최소 판매가격은 톤당 80만 원 중후반대로 추정된다.
업계 관계자는 “가격적인 이점이 크게 부각되기보다는, 대체 수입선 역할과 함께 제3국 우회 경로로 작동한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산 후판은 올해 들어 최대 38%의 잠정관세와 34%의 최종 덤핑방지관세가 부과됐다. 직수입은 급감했지만, 인도네시아산 물량이 등장하면서 반덤핑의 실효성이 흔들리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겉으론 인도네시아산으로 통관되지만 실질은 중국산 원재료에 기초한 제품일 가능성이 높다”며 “반덤핑 조치의 효과가 약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정부는 8월 관세법 시행령을 개정해 경미한 가공을 거친 제3국산 물품도 우회덤핑으로 인정하도록 했다. 무역위원회도 조사 기간을 늘려 정밀 검증을 강화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한계를 지적한다. 원산지 증명서만으로는 중국산 슬래브를 사용한 인도네시아산 후판을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철강업게는 이번 인도네시아산 후판 유입에 대해 단순한 가격 요인이 아닌 반덤핑 제도의 빈틈을 드러낸 사례로 받아들이고 있다. 특히 겉으론 인도네시아산이지만, 속은 중국산이라는 시각이 굳어지면서, 원재료 단계까지 추적할 수 있는 검증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