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3사, 글로벌 시장 점유율 줄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7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EV, PHEV, HEV)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은 약 590.7GWh로 전년 동기 대비 35.3% 성장했다.
그러나 LG에너지솔루션, SK on,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4.5%p 하락한 16.6%를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56.1GWh로 전년 동기 대비 9.0% 오르며 3위를 유지했고 SK on은 24.6GWh로 17.4%의 성장률을 보이며 5위에 올랐다. 반면, 삼성SDI는 17.7GWh로 10.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판매에 따른 국내 3사의 배터리 사용량을 살펴보면 삼성SDI는 BMW, 아우디, 리비안 순으로 공급 비중이 높았다. BMW는 i4, i5, i7, iX 등 주요 전동화 모델에 삼성SDI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지만 이 모델들의 판매 둔화로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 동기 대비 5.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비안은 R1S, R1T가 미국에서 안정적인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으나 중국 Gotion의 LFP 배터리를 적용한 스탠다드 레인지 트림이 새롭게 출시되며 삼성SDI의 탑재 비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아우디는 PPE 플랫폼 기반의 Q6 e-Tron 판매가 본격화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6.1%의 배터리 사용량 증가를 기록했다.
SK on의 배터리는 주로 현대차그룹, 메르세데스-벤츠, 포드, 폭스바겐 등의 주요 완성차에 탑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그룹의 경우 아이오닉5와 EV6의 페이스리프트 이후 판매량이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였고 폭스바겐 ID.4, ID.7의 견조한 판매량도 SK on의 배터리 사용량 증가에 긍정적으로 기여했다. 포드의 경우 F-150 라이트닝의 판매가 둔화되었지만 Explorer EV와 E-Transit, PUMA EV가 상승세를 보이며 12.9% 성장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은 주로 테슬라, 쉐보레, 기아, 폭스바겐 등의 주요 완성차에 탑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의 경우, 전체적인 판매 감소와 함께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탑재한 트림의 판매량 부진으로 배터리 사용량이 전년 동기 대비 23.6% 감소했다. 반면, 기아 EV3의 글로벌 판매 호조와 얼티엄 플랫폼이 적용된 쉐보레 이쿼녹스, 블레이저, 실버라도 EV의 북미 판매 확대는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사용량 증가를 견인한 주요 요인으로 평가된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