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산업부 예산, 철강업계 영향은?

업계뉴스 2025-09-01

산업통상자원부가 2026년 예산안을 13조8,778억 원으로 확정했다. 올해 본예산 11조4,336억 원 대비 21.4% 늘어난 규모로 역대 최대치다. 이번 예산에는 철강업계를 직접 겨냥한 통상 대응, 공급망 안정화, 산업위기지역 지원 예산이 대거 포함됐다.

산업부에 따르면 철강업계가 민감한 통상·수출 대응 분야 예산은 1조734억 원에서 1조7,353억 원으로 68% 늘었다. 무역보험기금 출연액이 800억 원에서 6,005억 원으로 확대되면서 조선·철강 수출 지원 폭이 커졌다. 

미국 관세 영향이 큰 중소·중견 철강기업을 대상으로 한 긴급지원 바우처(424억 원 규모)도 신설됐다. 피해 분석과 물류비, 생산거점 이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철강·알루미늄·구리 업종에 한정된 이차보전 사업이 신설돼 은행 대출 이자를 지원하게 된다. 고금리와 고율 관세에 따른 이중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다.

공급망 강화 예산도 철강 원료 수급과 직결된다. 소부장 공급망 안정 종합지원 사업은 45억 원에서 1,350억 원으로 늘었고, 소재부품 기술개발 예산은 1조1,780억 원에서 1조2,909억 원으로 증액됐다. 정부는 전략 핵심광물 재자원화 사업(38억 원 신규)을 통해 사용 후 배터리 등에서 자원을 회수, 특정국 의존도를 낮춘다는 방침이다.

지역 단위 지원도 확대됐다. 산업위기지역 대응 예산은 52억 원에서 179억 원으로 늘어, 석유화학·철강 등 글로벌 공급과잉 산업을 중심으로 중소·중견기업 경영 안정화에 투입된다. 

산업단지 환경조성 예산도 3,314억 원에서 4,073억 원으로 늘었으며, 이 가운데 RE100 산단 구축을 위한 261억 원 신규 예산이 반영됐다. 업계 관계자는 “철강 산업단지의 저탄소 전환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AI로 생성한 이미지/AI로 생성한 이미지

 

#구리 #업종 #한정된 #이차보전 #사업 #신설돼 #은행 #대출 #이자 #지원하게 #re100 #산단 #구축 #261억 #신규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