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연강판] 수입 규제 시장 전망은?

시황 2025-07-29

수입산 열연강판 오퍼가격이 단기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국내 시장은 제도적 방어막 작동을 위한 준비를 마친 상태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7월 들어 중국산 열연강판 오퍼가격이 단기간 급등했고, 일본과 중국산 수입재에 대한 반덤핑 예비판정까지 내려졌지만, 국내 유통시장에서는 단기간에 뚜렷한 가격 반응이 감지되지 않고 있다. 수요산업의 여름 휴가와 맞물려 전반적인 거래 관망세가 고조되며, 시황은 사실상 멈춰선 상태다.

7월 하순 유통가격은 전주와 비슷한 수준을 이어갔다. 국산 정품 열연강판 유통가격은 톤당 80만 원 초반선으로 보합세를 유지 중이며, 수입대응재는 70만 원 중반선에서 거래가 형성되고 있다. 중국산 수입재는 일부 품목 기준 60만 원 후반까지 밀린 상태다.

업계는 상반기 중 체결된 저가 수입계약 물량이 최근까지 순차적으로 입고되면서, 유통시장 전반에 약세 압력이 지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가격 반등 기대와 달리 실거래 자체가 급감한 점을 더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철강업계는 반덤핑 발표 이후 가격 반등을 저해할 요소로 △막판 선적 러시로 쌓인 수입재고 △수요 부진에 따른 유통 마진 악화 △휴가철 특유의 관망 기조 등을 꼽았다. 특히 국내 시장에서는 저가로 체결된 수입계약 물량이 순차적으로 입고되며, 유통가격 하방 압력을 유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수급 정상화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이라며 “실제 가격 반영 여부는 휴가철 이후 시장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철강업계 #반덤핑 #발표 #이후 #가격 #반등 #저해할 #요소 #△막판 #선적 #러시 #쌓인 #수입재 #△수요 #부진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