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원전업계 “수소환원제철에 원전은 필수, PPA∙민간투자 허용해야”

기타 2025-07-02
2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 소회의실에서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주최로 열린 ‘수소환원제철과 탄소 저감을 위한 원전 활용 정책토론회’에서 토론자들이 참석자의 질문을 듣고 있다.

수소환원제철로 미래 한국 철강 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선 원자력 발전은 필수로 원전 에너지에 대한 기업의 접근성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를 위해 수요 기업과 소형모듈원전(SMR) 등 원전 간 전력구매계약(PPA), 원전에 대한 민간 기업의 투자 등을 적극 허용하는 제도로의 이행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함께 제시됐다.  

2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2 소회의실에서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주최로 ‘수소환원제철과 탄소 저감을 위한 원전 활용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에서 철강업계와 원자력 업계가 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처음으로 함께 의견을 나눈 자리였다.

손병수 포스코홀딩수 상무는 수소환원제철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업과 원전 간 PPA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가변성은 있지만 수소환원제철로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선 수소 200만 톤, 전력 8기가와트(GW)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원전 에너지는 필수”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과 유럽연합(EU)이 탄소 중립을 무기로 제조업 주도권을 잡기 위해 나서고 있다”며 “원전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가능케 하는 한국 유일의 발전원”이라고 강조했다.

또 월성 1호기 등 설계수명이 만료된 원전에 대한 민간 기업의 투자를 허용해 해당 기업에 전력 공급을 가능케 하는 제도를 정부에 제안했다. 그는 미국의 펠리세이드 원전 등의 사례를 언급하며 “현행법상 민간사업자의 원전 직접 참여를 제한하는 규정은 없으나, 현 규제 현실을 고려하면 근거 법령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무환 포항공과대학교 전 총장도 한국이 미국, 중국과 경쟁해야 하지만 그들보다 산업 전기요금이 높은 현실을 지적하며 “원자력 활용은 합리적 가격의 에너지 공급을 위한 출발점이자 비싼 산업용 전기료의 유일한 해결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수소 전용 원전 건설에 대한 제안도 나왔다. 박기철 한국원자력산업환경진흥협회 이사장은 “한국의 수소 사용은 2050년 2,790만 톤에 이르고 이 시기 글로벌 수소 소비는 전 세계 에너지 수요의 20%에 육박할 것”이라며 민간기업과 정부가 협업해 수소 경제에 대비하자고 주장했다.

허 의원은 토론회를 마무리하며 “철강이 산업의 쌀이라면 전기는 물로, 물 없이는 쌀이 밥으로 지어질 수 없다”며 “제조업 경쟁력을 위해 전기가 적합하게 공급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수소환원제철과 탄소 저감을 위한 원전 활용 정책토론회 전경.

 

#그들보 #산업 #전기요금 #현실 #지적 #“원자력 #활용 #합리적 #가격 #에너지 #공급 #출발점이자 #비싼 #산업용 #전기료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