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의회, 정부에 ‘철강업 위기대응지역’ 지정 촉구 성명서 채택
광양시의회가 정부에 철강산업 위기대응지역 지정 촉구를 결의했다. 앞서 광양시도 지자체 차원의 철강 위기대응지역 지정을 요청한 바 있다.
16일, 광양시의회는 본회의를 열고 ‘철강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산업위기 대응지역 지정 촉구 성명서’를 공식 채택했다. 또한 시의회는 정부와 관계기관에 철강산업 보호와 지역경제 안정을 위한 긴급 대응을 촉구했다.
시의회는 성명서를 통해 “광양은 포스코 광양제철소를 중심으로 한 국내 대표 철강산업 도시로, 철강 생태계는 국가 기간산업을 이끄는 중추이자 지역경제의 핵심이다”며 “그러나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중국의 저가 공세, 일본의 엔저 현상 등 대외 환경 악화로 철강산업은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광양시의회는 “전남은 전국 철강 생산량의 34.4%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철강 관련 기업 220여 개가 밀집한 광양은 산업 침체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라며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 협력업체, 소상공인까지 경영난과 고용 불안, 매출 감소 등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지역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광양시의회는 성명서를 통해 ▲광양시의 ‘산업위기 대응지역’ 조속 지정과 ▲정부 차원의 종합적 지원을 담은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을 강력히 촉구하며, 철강산업의 보호와 재도약을 위해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선언했다.
앞서 14일, 광양시는 전라남도청과 순천시 등 광양만권 철강도시 지자체와 함께 ‘철강산업 위기대응 협의체’ 2차 회의를 열고 산업위기 대응지역 지정 추진 현황 점검 및 정부에 철강산업 선제대응지역 지정 추진을 요청했다.
한편, 중국산 수입 증가 및 제조업 경기 악화 등으로 철강업 수요 부진이 계속되자, 중소 철강사 위기는 물론 대형 철강사까지 일부사업 철수와 공장 폐쇄 등에 나서고 있다. 이 같은 여파로 광양 외에도 포항과 당진 다른 철강업 발전 도시에서도 지자체와 시의회, 지역경제단체 등이 철강업 산업위기 대응지역 지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