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 실수요 업계, 포스코 STS 4월 출하價 동결에도 ‘숨 막혀’
4월 실수요향 스테인리스(STS) 출하 가격도 동결된 것으로 확인됐다. 유통업계와 마찬가지로 STS강관 업계 등 실수요 업계의 1분기 매입 가격 상승과 반대되는 판가 인상 적용 어려움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관련 실수요 업체들은 성수기 가격 인상을 시도한단 입장이다.
STS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300계 등 주요 강종의 실수요향 가격을 동결했다. 이달 유통향 출하 가격을 동결한 것과 궤를 같이했다.
포스코는 산업용 전기료 급등과 환율 장기 강세로 인한 원료 수입 부담이 여전하다고 설명하는 있는 가운데 최근 STS 시장 협력 및 고객사의 판가 인상 어려움 및 수입재 시황 등을 감안해 4월 출하가 동결을 결정했다.
실제로 실수요 시장도 현재 1분기 동안 오른 코일 매입 가격분조차 자신들의 시장 판가에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STS 강관업계 관계자들은 “현재까지 포스코의 실수요향 가격은 공식적으론 톤당 20만원(1·3월 각각 톤당 10만 원/총 20만 원)이 올랐고, 유통시장에서 일부 또는 저체 소재를 조달하는 업체는 공식적 실수요가 보다 추가 인상 부담(유통향은 1~3 각각 톤당 10만원/총 30만 원)이 있다”라며 “이러한 상황에서 STS강관 등 실숭요 업계 전반적으로는 실수요향 인상분의 절반 수준도 판가에 반영하지 못했다”고 현 시황을 설명했다.
특히 이들 ST 실수요사들은 동절기 영향으로 조선 등 일부 수요시장 외에선 수요가 부진하면서 판매 부진과 가격 인상 적용이 어려워 경영상 어려움이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기에 더해 미국 수출을 주력하는 업체들은 관세 불투명성에 수급 전략을 정하기 쉽지 않았고, 국내 시장에서 저가 아시아산 수입재 유입도 늘어나면서 내우외환 상황에 빠진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실수요 업계 일각에선 4월 포스코의 실수요향 가격 동결에 대해 ‘다행이다’란 반응도 내놓고 있다. 소재사 가격 인상에도 가수요 발생이나 판가 동반 인상이 어려운 것이 확인된 가운데 소재 매입 가격만 추가로 오르는 부담은 일단 피했다는 입장이다.
실수요 업계 일각에선 4월부터는 앞서 인상을 선언했으나 실질적으로 반영하지 못한 판가를 실제 반영하겠단 계획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정치적 불확실성이 점차 해소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졌고, 이와 관련해 경기부양을 위한 국회 추가경정예산 및 선거철·신정부 경기부양책 등으로 철강 및 스테인리스 수요에 긍정적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단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특히 계절적 성수기 진입 시점에도 자연적인 시장 수요 회복 기대가 매우 낮은 상황에서 정치권 예산 집행 확대에 경기 회복에 일말의 희망을 걸어본단 분위기다. 다만 제조업 경기가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정치권 이슈가 실제 스테인리스 수요 및 가격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지 미지수이고, 포스코가 4월 이후 인상 가능성을 여전히 열어두고 있는 가운데 단기 영업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불투명해 보인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