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K] “Strength for MOVE”…현대제철, 산업 대응 전략 전시로 제시

종합 2025-11-19

현대제철이 19일 개막한 ‘제8회 국제 철강 및 비철금속 산업전(SMK2025)’에서 자사 강재 브랜드 체계와 고객 맞춤형 기술 플랫폼을 실물 중심으로 공개했다. 올해 전시 구성은 단순 제품 나열이 아니라 산업 적용 구조를 따라 전시물이 배치된 점이 특징이다.

전시 공간의 전면부에는 전기차 일체형 PE 시스템(고성능 감속기)과 차체 구조 모형이 배치됐다. 감속기는 내부 기어 구조가 그대로 보이는 형태였고, 소재 구성·내구 기준·고강도 설계가 함께 안내됐다.

바로 옆에는 전기차 차체 골격이 색상별로 나뉘어 전시됐고, 고강도·초고강도·성형 용이 강재 등 차체 부분별 소재 대응 방식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설계됐다. 

현대제철이 19일 개막한 ‘제8회 국제 철강 및 비철금속 산업전(SMK2025)’에서 자사 강재 브랜드 체계와 고객 맞춤형 기술 플랫폼을 실물 중심으로 공개했다. /철강금속신문현대제철이 19일 개막한 ‘제8회 국제 철강 및 비철금속 산업전(SMK2025)’에서 자사 강재 브랜드 체계와 고객 맞춤형 기술 플랫폼을 실물 중심으로 공개했다. /철강금속신문

전시장 오른편에는 H-SOLUTION M.A.P(Material·Application·Part) 구조가 별도 패널로 설치됐다.

현장 관계자 설명에 따르면, 이번 전시의 핵심 중 하나는 고객 적용형 개발 체계인 ‘H-SOLUTION M.A.P(Material·Application·Part)’이다. 

관계자는 “소재 단계에서부터 자동차 부품 개발까지 이어지는 적용 프로세스를 한 번에 제시하는 체계”라며 “강재 공급을 넘어 개발 과정 전체를 함께 설계하는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현장에 전시된 안내 보드에는 소재 특성, 설계·해석, 적용 공정, 부품화 단계가 순차적으로 정리돼 있었으며, 용접성 분석, 성형 시뮬레이션, 충돌 해석 이미지가 함께 배치됐다. 단순 사양 설명이 아니라 개발 과정에서 어떤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단계별로 보여주는 구성이다.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에서는 단순히 강도가 높은 철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 설계와 공정 적합성, 양산 안정성을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며 “이번 전시는 그 과정을 그대로 보여주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부스 후면에는 프리미엄 강재 브랜드 HCORE 전용 구역이 마련됐다. 해당 공간에는 ▲고층 건물 구조 모형 ▲교량 단면 ▲대형 H형강 ▲형강 등이 나열됐다.

전시장 전면에는 올해 도입한 핵심 비전 ‘Strength for MOVE(Movement Of Value Enhancement)’가 표기됐다. 이 비전을 통해 현대제철은 ▲자동차강판 글로벌 톱티어 ▲건설강재 초격차 ▲탄소저감 강재 퍼스트 무버 전환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현대제철이 19일 개막한 ‘제8회 국제 철강 및 비철금속 산업전(SMK2025)’에서 자사 강재 브랜드 체계와 고객 맞춤형 기술 플랫폼을 실물 중심으로 공개했다. /철강금속신문현대제철이 19일 개막한 ‘제8회 국제 철강 및 비철금속 산업전(SMK2025)’에서 자사 강재 브랜드 체계와 고객 맞춤형 기술 플랫폼을 실물 중심으로 공개했다. /철강금속신문현대제철이 19일 개막한 ‘제8회 국제 철강 및 비철금속 산업전(SMK2025)’에서 자사 강재 브랜드 체계와 고객 맞춤형 기술 플랫폼을 실물 중심으로 공개했다. /철강금속신문현대제철이 19일 개막한 ‘제8회 국제 철강 및 비철금속 산업전(SMK2025)’에서 자사 강재 브랜드 체계와 고객 맞춤형 기술 플랫폼을 실물 중심으로 공개했다. /철강금속신문

 

    

#비전 #현대제철 #▲자동차강판 #글로벌 #톱티어 #▲건설강재 #초격차 #▲탄소저감 #강재 #퍼스트 #무버 #전환 #방향 #제시 #관계자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