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강선류 수출 전년比 9.5% 감소
중국과 주요 선진국들의 건설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중국의 저가 수출 공세 및 신흥국 업체들의 생산용량 확대로 인해 경쟁이 심화되면서 상반기 강선류 수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금리와 아파트 미분양 증가, 예산 감축에 따른 SOC 투자 감소 등으로 인해 국내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트럼프 리스크 등에 따른 대외 악재가 심화로 국내 수요가 감소하면서 수입도 감소했다. 다만 건설 부문 침체로 보통강강선 수입은 증가했으나, 제조업 부문 수요가들의 저가 소재 채택 확대로 인해 특수강강선 수입은 증가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강선류 수출은 18만2,899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9.5% 감소했고, 수입은 12만8,327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7.6% 감소했다.

품목별로 보통강강선의 경우 비도금강선 수출은 4만1,93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한 반면, 아연도강선과 동도금강선, 기타도금강선, 기타강선 수출은 각 8,696톤, 2만7,212톤, 1,001톤, 7,017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37.8%, 29.6%, 11.1% 감소했다.
특수강강선의 경우 STS강선과 고속도강강선 수출은 각 1만7,036톤, 21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16.7% 증가한 반면, 스프링강강선과 내열강강선, 기타특수강선 수출은 각 7,299톤, 6톤, 7만2,681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14.3%, 4.6% 감소했다.
상반기 일본과 아프리카, 대양주향 수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중국과 주요 선진국들의 건설 경기 침체가 지속된 데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수입규제에 따른 전 세계적 보호주의 강화로 전반적인 수요가 감소한 데다 중국의 저가 수출 공세에 따른 경쟁도 심화되면서 전체 수출이 감소했다.
수입의 경우 보통강강선은 품목별로 아연도강선과 기타도금강선, 기타강선 수입은 각 5만1,137톤, 1,548톤, 1만2,688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4.5%, 31.7% 증가한 반면 비도금강선과 동도금강선 수입은 각 1만5,713톤, 1만3,905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9%, 36.9% 감소했다. 보통강강선 전체 수입은 9만4,991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 감소했다.
특수강강선의 경우 고속도강강선 수입은 전년과 같은 1톤을 기록했고, STS강선과 기타특수강선 수입은 각 1만6,489톤, 5,818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6%, 7.2% 증가한 반면 스프링강강선과 내열강강선 수입은 각 1만1,013톤, 15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64.3% 감소했다. 특수강강선 전체 수입은 3만3,336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했다.
수입의 경우 아파트 및 상가 미분양 증가, SOC 투자 감소에 따른 건설 경기 장기 침체로 보통강강선 수입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전체 수입 물량도 감소했다. 다만 특수강강선의 경우 국내 제조업체들이 원가 절감 차원에서 저가 소재 채택을 늘리면서 수입 물량이 증가했다.
한편 하반기에도 중국을 포함한 주요 선진국과 인도를 제외한 신흥국들의 건설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수입규제도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란-이스라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도 심화되면서 강선류 수출 감소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수입 또한 국내 주택시장이 극도로 침체된 데다 대외 여건 악화로 국내 주력산업의 경기 둔화도 지속되면서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