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강협회, 창립 50주년 맞다…협회 발전 역사와 주요 수행 결과 탐구

업계뉴스 2025-07-09

한국철강협회가 7월 9일, 창립 50주년을 맞이했다. 철강협회는 통상대응 및 국제협력, 철강관련 각종 조사, 국내외 환경규제 대응, 기술 및 수요개발 지원을 통해 세계 조강생산 6위로 도약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철강협회는 지난 1975년 7월 9일 철강업의 건전한 발전과 수출진흥을 통해 국가발전에 도모하고자 창립됐다. 현재 협회는 철강제조를 담당하고 있는 정회원 42개사와 특별회원 6개 업체 및 단체를 포용하는 명실상부한 국내 유일의 철강산업을 대표하는 단체로 질적 양적 성장일 이뤘다.      협회가 창립한 1975년, 국내 조강생산은 253만 4천 톤에 불과했다. 이후 철강업계와 철강협회가 철강업 보호 및 발전을 위한 각가지 사업을 펼치면서 2024년 국내 조강생산은 6,364만 8천 톤으로 50년간 25배 성장했다.   

 

철강협회 50주년 엠블럼철강협회 50주년 엠블럼

 

■ 철강관련 통계 작성 및 각종 조사로 회원사 경영 기초자료 제공하고 철강정책 수립

철강협회는 창립 당시부터 국내외 철강산업 정책 및 합리화 조사, 철강수급동향, 철강재 출하구조, 경영실적분석, 설비투자동향 등을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정부의 철강정책 및 철강업계 경영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우리나라 철강산업이 발전하는데 기틀을 다졌다.

특히 경제기획원 고시에 의거하여 1977년 3월, 철강통계작성기관으로 지정 고시되어 공신력 있는 철강통계를 제공하는 기관으로 부상했다. 또한 협회 창립 이후 매년 철강세미나인 ’Steel Korea(스틸코리아)‘를 개최하여 철강산업 발전방향과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협회는 철강소비원단위, 철강수요구조, 중장기 철강산업 전망 등 주요 정책과제에 대한 연구를 회원사와 공동으로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각종 제도개선 및 정책을 건의하고, KS(한국산업인증) 및 ISO(국제표준기구) 등 국가·글로벌 표준에 신속 대응 중이다.

통상 대응 및 국제협력을 통해 상호 협력강화 및 국내 업계 이익 대변   이 밖에도 철강협회는 창립이후 다양한 통상대응 및 국제협력 활동을 통해 국내 업계의 이익 대변을 위해 노력했다.  통상대응 활동으로 협회는 2025년 7월 현재 20개국에서 87건의 철강재 수입규제 조치에 대해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는 대응체계를 구축하였으며, 2023년 5월 발표한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전환기간 시행과 관련하여 민관 대응 구축 및 주요국과 공동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협회는 불공정 수입 철강재의 국내 유입을 막고 위법 행위를 단속하는 등 국내 철강산업 보호를 위해 다양한 방안들을 마련하여 대응하고 있다. 국제협력활동으로는 2001년부터 한·일 철강민관회의(22회 개최), 1999년부터 개최된 한·중 민관 철강회의(21회 개최), 2012년부터 개최한 한·아세안철강위원회 민간철강협력회의(10회 개최), 2017년부터 개최한 한-인도(3회 개최) 및 한-대만 철강협력회의(4회 개최)를 통해 공동 관심사항과 상호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등 활발한 철강 외교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아울러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철강위원회와 글로벌포럼(GFSEC), 세계철강협회(Worldsteel) 등 다자 회의를 통해 글로벌 공급과잉 해소를 위한 각국의 정책 동향, 저탄소 기술개발 현황 등을 파악하여 회원사에 공유함으로써 경쟁력 강화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게다가 협회는 철강기술개발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시대 앞당기는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협회는 철강21세기운동, 철강기술전문부회 및 철강상 제도 운영 등을 통해 철강산업의 기술개발 및 질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협회는 1982년 철강인의 연구 의욕을 고취시키고자 철강상을 제정하여 현재까지 42년에 걸쳐 총 174명의 수상자를 선정하여 시상했으며, 1990년 1월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을 발족하여 첨단기술개발 및 공동 애로 기술을 해소함으로써 철강업계의 기술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1989년부터 1995년까지 생산성 향상 및 고부가가치강 생산확대를 위한 철강21세기운동을 전개하여 철강기술 발전에 기여 했으며, 1996년부터는 동종업종간 기술교류 모임인 철강기술전문부회를 운영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서울 송파구 철강협회 사무실 앞 명패(사진 본지)

 

■ 국내외 환경규제 강화에 합리적인 대안 제시, 불합리한 규제에 사전 대응

철강협회는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2050 탄소 중립관련 업무 대응 등 국내외 환경규제 강화에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에도 소홀하지 않게 다루고 있다. 친환경 생산 체제 및 친환경 제품이 철강업이 궁극적으로 나가야할 방향성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지나친 불합리한 규제에는 사전 대응에 앞장서 철강업계의 영향을 최소화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협회는 철강부분의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NDC)과 2050 탄소중립과 관련, 철강업계가 수소환원제철 기술 도입 등을 통해 95% 감축목표를 설정한데 대해 지원하고 있다. 철강업종의 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정부의 지원도 지속적으로 건의 중이다. 

또한 2024년에는 철강슬래그 고부가가치화 및 재활용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등 활발한 활동을 위해 철강슬래그위원회도 발복시켰다. 철강슬래그는 철강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산물로 전체 부산물의 약 90% 가량을 차지하며, 물리적·화학적 성질이 우수한 친환경 자원이다. 

이 밖에도 국내외 환경 규제 및 안전 부분 강화로 사업장 부담이 증가하고 있어 협회는 관계법령 개정전 정부와 사전 협의를 통해 철강업계의 의견을 제시하였고, 회원사의 환경 및 안전보건 능력 향상을 위해 관련 협의체를 적극 운영하고 있다.  

■ 철강재 수요창출 및 국산 철강재 사용확산에 앞장 

협회는 급변하는 시장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철강재 신수요 창출 및 국내산 철강재 사용 확산을 위해 각종 수요개발위원회를 발족하여 운영하고 있다.                  1996년 설립하여 2004년 명칭을 변경한 강구조 센터는 강구조 건설 분야(건축, 토목, 주택) 및 태양광 수요확대와 경쟁력 향상을 위해 강재의 효율적 이용기술 개발 및 보급, 강재의 수요패턴 변화에 대응한 제도 및 기준 개선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스테인리스스틸클럽은 1996년 설립하여 선진국형 수요기반 확대 및 신규 수요창출 활동, 각종 기준 및 제도 정비, 세미나 등을 통해 기술보급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강관협의회도 2005년 3월 설립하여 강관의 시장 개척 및 신제품 개발을 위한 제반 활동을 전개하고, 제도 및 관행의 합리적인 개선을 도모하여 강관업계의 경쟁력 향상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선재협의회는 2015년 설립하여 선재 및 가공 제품의 수요패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제도 및 기준을 마련하고, 국내외 교류 활동을 통해 국내 선재 및 가공업계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2년 발족한 친환경에너지강재위원회는 올해 철강풍력위원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풍력발전 생태계 내에서 국산 철강재의 적용 확대를 통한 수요기반 확충을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6월 9일, 26회 철의날 행사에서 철강협회 50주년 기념식도 함께 진행됐다(사진 본지)

 

■ 철강업계와 공동으로 상생펀드 조성 및 사회공헌 사업 적극 추진

또한 협회는 2000년부터 산업의 쌀인 철강의 중요성을 알리고, 철강산업 종사자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현대식 용광로에 처음 쇳물이 나온 날인 6월 9일을 철의 날로 제정하여 이를 기념하고 있다. 올해로 26회 철의날이 개최된 가운데 철의 날 행사에선 현재까지 철강산업 발전에 기여한 총 617명에 대해 정부포상을 수여됐으며 부대행사로 철강세미나, 사진 공모전, 철강 마라톤 대회도 실시됐다.  아울러 철강협회는 중소철강업계의 발전에도 도움을 주기 위해 2000년부터 총 4,500억원의 상생협력펀드를 조성하여 중소 철강업체 및 협력업체에게 저리로 상생자금을 지원해 오고 있다. 또한 철강업의 사회공헌을 위해 2007년부터 철강업계 연합으로 총 18회에 걸쳐 생활이 어려운 이웃에게 사랑의 연탄을 배달하는 등 실제 참여 지원과 성금·성품 지원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특히 철강업과 철강인 및 철강사, 철강제품 등에 대한 이미지 제고를 위해 1996년 협회내에 철강홍보위원회 발족하여 철강사진 공모전, 어린이 철강 캠프, 철강 홍보용 책자 및 영상을 제작하여 배포하기도 했다.  

한편, 협회는 현장직에서 석·박사급까지 철강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인력 양성 추진 중이다. 

협회는 2005년부터 철강산업에 적합한 기술 인력양성을 위해 철강산업인적자원개발협의체를, 산업현장 인력양성을 위해 2015년부터 재료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를 운영하여 철강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인력양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또한 2018년부터는 철강관련 석·박사급 R&D 전문인력 양성에 앞장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철강협회는 앞으로도 국내 철강업 발전과 보호, 인재발굴, 철강문화 확산, 지속성장 및 정책제언(대응)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유지하고 필요한 신사업을 적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철강협회 주요 연혁>

1975. 7 한국철강협회 설립(초대회장 박태준, 종로구 삼일로빌딩)

1975. 9 1회 철강산업발전세미나 개최 및 철강보 창간호 발간

1976. 2 철강통계연보 창간호 발간

1976. 4 국제철강협회(IISI) 단체회원 가입

1976. 7 동남아철강협회(SEAISI) 단체회원 가입

1977. 3 철강지정통계 조사기관으로 지정(경제기획원-통계청)

1982. 11 철강상 제도 신설

1986. 9 협회명칭에서 사단법인 삭제(설립근거 민법 32공업발전법)

1988. 10 국제철강협회 서울총회 개최

1989. 11 한국신철강연구조합 설립

1990. 1 철강21세기운동추진본부 발족

1992. 12 철강연감 창간호 발간

1995. 12 철강엔지니어클럽 발족

1996. 2 스틸하우스클럽, 스틸컨스트럭션클럽 발족

1996. 8 스테인리스스틸클럽 발족

1996. 12 철강홍보위원회 발족

1997. 3 철강기술전문부회 발족

1998. 1 철강정보서비스(KOSIS) 시스템 가동

1999. 2 철의 날(6.9) 제정

2000. 6 1회 철의날 기념식 개최

2002. 4 스틸컨스트럭션센터(스틸하우스 클럽, 스틸컨스트럭션 클럽) 통합

2004. 6 1회 철의날 기념 마라톤대회 개최

2004. 12 강구조센터(스틸컨스트럭션센터) 명칭변경

2005. 1 무역구제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

2005. 3 철강산업 인적자원개발협의체 출범

2005. 3 강관협의회 발족

2005. 7 한국철강산업 발전사 발간

2005. 10 국제철강협회(IISI) 서울 총회 개최

2005. 12 철스크랩위원회 발족

2007. 9 1회 스틸유니버시티 코리아 챌린지 대회 개최

2009. 5 부적합철강재 신고센터 설립

2009. 7 국내 철강산업지도 발간

2009. 7 표준개발협력기관(COSD) 지정

2011. 1 신철강기술연구조합,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으로 재출범

2012. 1 철강통상대책위원회 발족

2012. 2 철강협회-금속재료연구조합 통합 운영

2013. 2 철스크랩 고의적 불순물 신고센터 운영

2013. 4 송파구 가락동 사옥 이전

2015. 3 선재협의회 발족

2015. 10 스틸코리아 2015 개최

2016. 4 무역위원회로부터 불공정 무역행위 신고센터로 지정

2016. 8 20대 국회철강포럼 발족

2018. 4 미 철강 수출 쿼터제 승인기관 지정

2018. 5 철강수출 통합쿼터관리시스템 구축

2019. 7 모듈러건축위원회 발족

2019. 6 고로(용광로)안전밸브 이슈 해결을 위한 민관협의체 발족

2020. 6 철강업계와 기업은행 철강상생협력펀드 협약식 개최

2021. 1 철강정보서비스 V3.0 오픈

2021. 2 철강업계 2050 탄소중립선언 및 제1차 그린철강위원회 개최

2022. 4 친환경에너지강재위원회 발족

2023. 8 철자원 상생포럼 발족

2024. 3 철강슬래그위원회 발족

2025. 6 26회 철의 날 및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행사 개최

 

 

 

 
#2022년 #발족 #친환경에너지강재위원회 #철강풍력위원회 #명칭 #변경 #풍력발전 #생태계 #국산 #철강재 #적용 #확대 #수요기반 #확충 #목표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