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강 2차 유통업계, 내수 부진 장기화에 구조조정 본격화
자동차를 포함한 주력산업의 경기 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트럼프 리스크로 인해 대외 악재도 심화되면서 특수강 2차 유통업체들의 구조조정도 본격화되고 있다.
인천시와 화성시, 포천시와 양주시 등 수도권 주요 공단지역의 2차 유통업체들을 취재한 결과 많은 업체들은 올해 경기가 지난해보다도 더욱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유통업체들의 경우 대부분 건설 및 건설자재, 기계와 금형, 자동차부품과 가전부품, 소비재 제조 중소기업들을 수요처로 두고 있다.
문제는 고금리 장기화와 아파트 미분양으로 인해 주택시장이 역대 최악의 부진을 보이는 가운데 SOC 투자도 감소하면서 건설 및 건설자재 부문의 특수강 수요는 지난해보다도 20% 이상 감소하면서 10년래 최저 수준의 수요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게다가 내수 소비 부진으로 인해 생활용품 수요도 감소하면서 금형강 수요도 감소했고, 제조업 경기 둔화도 지속되면서 기계와 자동차, 중장비용 탄소강 및 합금강 수요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중국산 수입재의 국내 시장 잠식이 지속되면서 제품 가격은 성수기 진입에도 동결되면서 업계의 수익성도 약화되고 있다.

인천시의 한 2차 유통업체 관계자는 “주력산업의 경기 둔화와 대외 악재가 심화되면서 제조업체들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대기업들의 경우 그동안 비축한 재무적 역량으로 인해 그나마 버틸 체력이 있지만 중소 제조업체들의 경우 사실상 벼량 끝으로 내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제조업체와 1차 유통업체들의 경우 대기업이 수요처인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상황이 양호한 편이다. 하지만 중소 제조업체들을 주 수요처로 두고 있는 2차 유통업계의 경우 최근에는 대금 환수가 어려운 경우도 적지 않으며, 거래처의 부도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업체들이 많다”고 말했다.
포천시의 한 2차 특수강 유통가공업체 관계자는 “각종 생활용품과 건설자재를 생산하는 중소 제조업체들이 밀집한 경기 북부지역의 경우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내수 소비 부진, 중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으로부터의 저가 소비재 수입 증가 등으로 인해 경기 침체가 심화되고 있다. 예년의 경우 경기 북부지역의 중소 제조업체들은 물론 철강 유통가공업체들 또한 11월 이후 일감이 많았지만 지난해에는 최악의 부진을 겪었다”고 말했다.
내수 침체와 함께 2차 유통업체들을 더욱 어렵게 하는 것은 국내 중소 제조업체들이 주력하는 각종 부품과 생활용품이 완제품 형태로 수입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다.
2차 유통업체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존에는 중국산 저가 금형 수입만 다소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최근 국내 소비자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중국은 물론 아세안 국가들로부터 완제품 수입까지 급증하면서 생활용품 및 건설자재 부문의 중소 제조업체들은 설 자리를 점차 잃고 있다.
포천시의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중소 특수강 유통가공업계에서는 단기간 내에 경기가 회복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수요처인 생활용품 제조 중소기업들의 경우 올해 경기가 더 악화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최근에는 중국은 물론 아세안으로부터 저가 철강제품 뿐만 아니라 각종 완제품들이 밀려들어오면서 중소 제조업체들과 철강 유통가공업계 모두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와 같이 경영위기가 지속되면서 2차 유통업체들의 부도사태가 늘어나고 있으며, 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도 본격화되고 있다.
화성시의 한 2차 유통업체 관계자는 “제조업체들이 몰려 있는 화성시의 경우에도 중소 제조업체들의 가동률이 매우 하락하면서 특수강 수요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당사의 경우에도 예전에는 직원이 6~7명 있었지만 현재는 모두 내보낸 상황이다. 국내 주력산업 부진과 트럼프 리스크가 겹치면서 올해 실적이 지난해보다 더욱 나빠지고 있다.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영세한 2차 유통가공업체들은 부도가 급증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처럼 중소 제조업체와 건설업체들을 주 수요처로 둔 2차 특수강 유통업계는 대부분 지난해보다도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이에 특수강 유통가공업계에서는 차기 정부가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통해 국내 수요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저가 수입재의 시장 잠식을 막기 위한 수입규제를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중소 제조업체들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