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판] 후판 유통 ‘정중동’…중국산 잠정관세에 긴장 고조
후판 시장이 관세 이슈를 앞두고 긴장 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4월 24일부터 중국산 후판에 최대 38% 수준의 잠정덤핑방지관세가 예고되면서, 수입재 거래는 어려움이 더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국내 후판 가격은 수입대응재와 수입재 중심으로 강세 이후 보합을 나타내고 있으나, 시장 전체가 관망으로 기울었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유통시장에서 국산 정품 후판은 톤당 90만 원선, 수입대응재는 80만 원 중후반, 수입재는 80만 원 중반 수준을 형성하고 있다. 최근 국내 유통가격은 중국산 후판 반덤핑 예비판정 이후 급등세를 멈추고 보합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업계는 잠정관세 부과가 “단순히 수입재 가격이 오르는 것이 아닌, 유통구조 자체를 흔드는 변수”라고 보고 있다. 일부 수입사들은 “높은 관세를 온전히 전가하긴 어렵다”며 기존 계약 물량 처리에 집중하고 있으며, 신규 물량 확보에는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과거처럼 수입재가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시장을 흔들 수 있는 구조는 더 이상 아니”라고 말했다.
수요업계 반응도 엇갈린다. 조선 관련 업체는 관세 적용 전 구매를 마쳤거나 발주 시점을 늦추는 등 방어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건설·기계 업계는 여전히 원가 부담과 제품 수급에 문제가 있을 것이란 의견을 내놓고 있다.
철강업계는 오는 5월 이후 본격적인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잠정관세 현실화 이후 수입재 유입이 급감하면, 시장은 국산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라며 “다만 수입재 사용 비중이 높은 업계의 경우 초기 혼란도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