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강봉강) 수요 둔화·제품價 약세 지속 전망
국내 건설 및 주력산업의 경기 둔화와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사태 이후 더욱 악화된 트럼프 정부의 통상압박 등으로 국내외 수요가 모두 둔화되는 가운데 중국산 저가 수입재의 시장 잠식도 지속되면서 특수강봉강 제품 가격 약세도 지속될 전망이다.
현재 특수강봉강 업계의 전방산업 동향을 살펴보면 건설 부문은 미분양 증가와 예산 감축으로 민간시장과 공공시장이 모두 부진한 상솽에서 주요 수출국들의 건설 및 광산업 경기도 침체되면서 건설과 중장비 부문 모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부진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의 경우 반도체 부문이 수출 호조로 유일하게 수요가 증가했고, 자동차와 조선은 수출 호조에도 전기차와 LNG선박 비중 확대, 구매정책 변경 등으로 오히려 수요가 소폭 감소했다. 그리고 최대 수요처인 자동차부품과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가전, 기계, 석유와 석유화학, 철강 부문은 수출이 감소하면서 수요가 모두 감소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외 수요 둔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수입재 시장 잠식에 따른 제품 가겨 약세는 지속되고 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8월 특수강봉강 수입 물량은 비수기임에도 전월 대비로는 각 10% 이상 증가했고, 금형과 가공부품 수입도 증가하면서 제조업체들과 유통업체들 모두 9월 제품 가격을 동결했다.
특수강봉강 업계에서는 트럼프 리스크에 따른 수요 둔화와 판매 감소, 중국산 수입재 시장 잠식에 따른 제품 가격 약세가 지속되면서 하반기 수익성 저하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야드 고객센터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