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아베스틸·세아창원특수강, 中 특수강봉강 반덤핑 제소

이슈 2025-08-04

특수강 제조업체 세아베스틸(대표이사 서한석)과 세아창원특수강(대표이사 이상은)은 중국산 특수강봉강에 대한 반덤핑(AD, Anti-Dumping) 조사 신청을 무역위원회에 접수했다고 8월 4일 밝혔다.

세아베스틸·세아창원특수강은 중국산 특수강봉강의 무분별한 국내 유입으로 ▲철강 스페셜티 특수강봉강 산업 위협, ▲저가·저품질 소재 확산에 따른 대한민국 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저해 등을 우려해 소재 주권 확보 차원에서 반덤핑 제소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특수강봉강은 일반 철강 대비 고강도·경량화 특성을 지닌 철강 스페셜티로 주요 산업의 첨단 부품 및 안전 관련 핵심 분야에 적용되는 소재이다. 산업별 요구되는 다양한 세부 사양에 맞춰 소재를 생산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기술 집약적 철강 제품군에 속한다.

세아베스틸과 세아창원특수강은 중국산 수입재에 대한 AD 제소를 실시했다. 사진은 국내산 특수강봉강. (사진=철강금속신문)세아베스틸과 세아창원특수강은 중국산 수입재에 대한 AD 제소를 실시했다. 사진은 국내산 특수강봉강. (사진=철강금속신문)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작년 기준 전체 특수강봉강 수입량은 약 75만 톤이며, 이 중 중국산이 약 67만 톤으로 92%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산 특수강봉강은 지난 2022년 45만 톤이 국내로 수입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최근 2년 새 물량이 약 50% 급증한 반면, 톤당 수입 단가는 24% 하락해 가격 왜곡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세아창원특수강의 영업이익은 2022년 1,257억 원에서 작년 114억 원으로 91% 급감하며 실질적 피해가 빠르게 누적되고 있다.

관련 피해는 국내 특수강봉강 산업에만 국한되지 않을 전망이다. 일반 범용 철강재와 달리 스페셜티 소재인 특수강봉강은 소재의 균일함과 청정도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외관상으로는 품질 확인이 어려워 특수강봉강을 핵심 소재로 사용하는 공급망 전반으로 품질 리스크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소규모 영세업체 비중이 높은 부품·장비 산업의 경우, 조달한 소재에 대한 품질 검사 및 이력 검증에 한계가 있어 직접적인 피해는 더욱 클 것으로 우려된다.

특수강봉강은 다품종 소량생산 특성상 국내 생산량이 전체 철강 생산량의 5% 수준에 불과하지만, 대한민국을 뒷받침하는 자동차, 방산, 중장비, 우주∙항공, 원전 산업 전반에 필수 핵심 소재로 사용된다. 해당 산업들은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광범위한 다단계 공급망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어 중국산 특수강봉강의 무분별한 유입에 따른 피해는 단순 특수강 봉강 시장 피해에 그치지 않고, 수백 조 원에 달하는 기계·부품·장비 산업 전반의 구조적 경쟁력 악화로 이어질 위험성이 크다.

세아베스틸지주 관계자는 “최근 미국, 유럽, 인도 등 주요국이 중국산 특수강봉강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재를 강화하며 국내로 유입되는 특수강봉강의 물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하며 “방산·우주··항공 등 국가 전략 산업의 핵심 소재인 특수강봉강 산업에 대한 최소한의 보호 조치를 통해 소재 주권을 확보하고, 대한민국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근본 경쟁력이 제고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산업별 #요구되 #다양 #세부 #사양 #맞춰 #소재 #생산하기 #때문 #대표 #기술 #집약적 #철강 #제품군 #2022년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