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몰 가공몰

[후판] 올랐던 후판 가격, 관세 지나고 ‘멈칫’

시황 2025-05-13

지난달부터 중국산 후판에 잠정덤핑방지관세가 적용되면서 국내 후판 시장이 분수령을 맞고 있다. 국내 유통가격의 단기 급등세는 멈췄지만, 수입재 위축과 국산 전환 논의가 맞물리며 유통 구조의 변화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4월 초까지 수입대응재와 수입산 후판 가격은 관세 이슈를 앞두고 단기 급등세를 보였다. 중국산 수입은 대폭 줄었으며 유통가격도 톤당 7만~8만 원가량 뛰었다. 그러나 관세가 현실화한 이후 시장은 곧바로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4월 말 기준 국산 정품은 톤당 90만 원 초반, 수입대응재와 수입산은 각각 80만 원 중반과 초중반선에서 보합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문제는 수요다. 철강업계는 후판 수요처 확대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건설·기계 업계의 자금 경색과 프로젝트 지연이 지속되면서 실수요 회복은 제한적이다. 특히 정품을 주로 사용하는 중대형 건설사 중심으로도 구매 여력이 약화하며, 거래량 자체가 활기를 띠지 못하는 분위기다.

다만 관세 이후 유통질서의 전환 조짐은 감지되고 있다. 일부 수요업체는 수입재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해 국산 전환을 검토 중이며, 제조사들도 국산 중심의 재편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유통거래의 신뢰 회복과 원가 투명성이 핵심”이라며 “5월은 시장 체질을 바꾸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5월 이후 후판 시황이 관세 효과의 실질 반영 구간으로 접어든다고 보고 있다. 계약 갱신 주기, 재고 소진 속도, 국산 매입 확대 여부 등이 맞물리며 유통가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전망이다. 다만 실수요 기반이 위축된 상황에서 급격한 반등보다는 방향 전환의 초기 국면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업계 #5월 #이후 #후판 #시황 #관세 #실질 #반영 #구간 #접어든 #수입재 #위축 #국산 #전환 #맞물리며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