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연강판] 저점 공방 이어지는 열연 시장…반덤핑 예비판정, 방향 바꿀까
국내 열간압연강판 유통시장이 5월에도 뚜렷한 방향성 없이 박스권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가격이 이미 바닥권에 근접했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실수요 회복 지연과 수입재 변수 등 복합 요인이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산 열연강판 유통가격은 톤당 80만 원 초반에서 횡보했다. 제조사들의 가격 인상 시도에도 불구하고 건설·기계 등 수요산업이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면서 실거래 회복에는 한계가 있었다. 일부 유통업체들은 “가격보다 거래 성사 여부가 더 중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수입재 가격 역시 부담 요인이다. 지난 4월 한때 중국산 오퍼가격은 톤당 450달러대까지 떨어졌고, 수입재 유통가격도 톤당 70만 원 초중반까지 내려온 상태다. 이에 국산과 수입재 간 가격 격차가 커지며 전반적인 시장 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는 설명이 나온다.
업계는 이달 시장 흐름을 ‘바닥 확인’ 단계로 보고 있다. 실수요 회복이 더딘 가운데, 중국·일본산 열연강판 반덤핑 예비판정이 이르면 6월로 예정된 만큼, 본격적인 시황 변화는 다음 달 이후가 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유통업계 일각에서는 5월 중순 이후 건설경기 개선과 국내 수급 상황 변동 등이 맞물릴 경우 시황 회복의 실마리가 열릴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현재는 저점 공방이지만, 하반기부터는 수입재 흐름이나 수요 회복 여부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며 “6월 반덤핑 예비판정이 국내 시장의 방향을 결정짓는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예비판정에서 고율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수입재 유입이 급격히 줄면서 유통시장의 가격 구조가 재편될 가능성도 있다”며 “제조사 입장에서는 이를 계기로 국산 중심의 거래질서 회복과 가격 정상화 흐름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