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9월 경강선재 판매 전년比 6.0% 감소
아파트와 상가 미분양 증가 및 SOC 투자 감소에 따른 국내 건설 경기 장기 침체, 북미와 아시아 건설시장 및 신흥국 광산업 부진에 따른 중장비 생산 감소, 주력산업 위기와 조이아주 사태 등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 중국산 저가 수입재의 시장 잠식 등이 겹치면서 경강선재 판매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2025년 9월 주요 경강선재 제품 판매 실적본지가 국내 주요 경강선재 제품 제조업체 6개사(고려제강·만호제강·동일제강·DSR제강·영흥·청우제강)의 2025년 9월 판매실적을 집계한 결과, 경강선재 제품 판매는 2만9,801톤으로 2만9,132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 2.3% 증가했으나, 3만2,743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9.0% 감소했다. 9월 누적 기준 판매는 29만6,616톤으로 31만5,632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했다.
수요산업 동향을 살펴보면 석유화학과 철강, 이차전지 수출은 감소했으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기계 및 석유제품, 가전 부문의 수출은 모두 증가했다.
다만 건설 부문은 민간시장과 공공시장이 모두 전년 대비 20% 이상 감소했고, 주요 선진국들과 신흥국들의 건설 및 광산업 부진에 중장비 생산 또한 전년 대비 20% 이상 감소했다. 게다가 상반기 국내 제조업체들의 생산용량 축소로 국내 공급이 위축되고 수입 물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수입재 잠식이 심화됐고, 이는 국내 경강선재 업체들의 판매 감소로 이어졌다.
6개사의 9월 내수 판매는 1만5,241톤으로 1만6,609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 8.2%, 1만7,583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3% 감소했다. 9월 누적 기준으로는 16만5,439톤으로 17만2,066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로는 3.9% 감소했다. 9월 판매 감소는 성수기 진입과 제조업 수출 호조에도 건설 경기 장기 침체로 수요가 회복되지 못한 상태에서 중국산 저가 수입재의 시장 잠식이 심화됐기 때문이다.
9월 누적 기준 품목별 내수 판매 동향을 살펴보면 와이어로프와 도금강(연)선 판매는 각 3만2,242톤, 8,631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39.6% 증가한 반면 경강선과 PC강(연)선, 이형PC강봉, 기타제품 판매는 각 5만7,163톤, 1만7,020톤, 7,267톤, 4만3,217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16.7%, 36.7%, 4.7% 감소했다.
와이어로프는 건설 부문 부진에도 조선업 호조로 판매가 증가했고, 도금강(연)선은 전년도 부진의 기저효과로 판매가 증가했다. 반면 경강선은 금액 기준 수출 호조에도 내수 소비 부진과 친환경차 비중 확대에 따른 자동차 생산 물량 감소로 판매가 소폭 감소했고, PC강(연)선과 이형PC강봉은 건설 경기 침체로 판매가 감소했다. 기타제품은 자동차 및 전기전자산업 부진에 판매가 감소했다.
9월 경강선재 수출은 1만4,481톤으로 1만2,105톤을 기록했던 전월 대비로는 19.6% 증가했으나, 1만5,160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월 대비로는 4.5% 감소했다. 9월 누적 기준으로는 13만1,178톤을 기록하여 14만3,566톤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8.6% 감소했다. 수출의 경우 주요 수출국들의 비수기와 경기 침체로 인해 전 품목이 모두 감소했다.
9월 누적 기준 품목별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와이어로프와 경강선, 기타제품 수출은 각 7만1,815톤, 4만4,740톤, 1만4,65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7.6%, 32.1% 감소했다.
와이어로프는 신흥국들의 인프라 투자 증가와 세계 조선업 경기 호조에도 주요 수출국들의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해 수출이 감소했고, 경강선과 기타제품은 트럼프 정부의 통상압박 및 선진국들의 경기 침체에 따른 자동차 생산 감소, 세계 경제 침체에 따른 제조업 설비 투자 감소로 인해 수출이 감소했다.
한편 4분기에도 국내 건설 경기 침체와 주력산업의 부진이 지속되고 중국산 수입재의 국내 시장 잠식이 심화되면서 경강선재 판매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