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연강판] 인상은 있었지만, 반등은 아직…“11월이 분기점”
국내 열연강판 시장이 여전히 숨 고르기 국면에 머물러 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주요 제조사들이 인상 신호를 냈지만, 유통가격 흐름은 잠잠하다. 재고 부담이 해소되지 않은 데다, 전방 수요가 바닥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서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국내 정품 유통가격은 톤당 80만 원 초반선, 수입대응재는 70만 원 중후반선, 중국산 등 수입산은 70만 원 중반선으로 형성돼 있다.
하절기 이후 제조사들이 톤당 약 3만 원 가격 인상을 단행했지만, 시장 반응은 제한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수요가 워낙 위축돼 가격 인상분을 반영하기 어렵다”라며 “특히 건설을 비롯한 주요 전방 산업의 부진이 철강 시장 전체를 묶어두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에서는 “가격보다 수요가 진짜 변수”라는 진단도 나온다.
다만 11월 이후를 기점으로 분위기 전환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반덤핑 조치 이후 수입재 유입이 줄고, 제조사 인상 기조가 이어지는 만큼 점진적 반등 여력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11월부터 실수요 출하가 조금이라도 살아난다면 가격 회복이 가능하다”라며 “지금은 조정기의 끝자락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철강업계는 4분기를 열연강판 시장의 분기점으로 본다. 가격 정상화의 관건은 제조사 인상이 아니라 내수 회복이라는 게 중론이다.
업계 관계자는 “인상 신호는 이미 충분히 나왔다”며 “결국 수요가 받쳐주지 않으면 시장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