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덤핑 관세, 철강시장 재편 가속…“국산 중심 수급 안정화 시동”
국내 철강시장이 후판과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를 기점으로 대대적인 변화를 맞이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한화투자증권은 이번 반덤핑 조치가 국산 중심의 안정적 수급 체계를 구축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우회수출 차단 여부와 건설 경기 등 전방산업의 수요 회복 강도가 효과의 지속성을 좌우할 변수로 꼽혔다.
한화투자증권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제철의 제소로 시작된 중국산 후판 반덤핑 조사에서 지난 8월 무역위원회가 최대 34.1%의 관세 부과를 최종 판정했다. 잠정관세 부과 이후 중국산 수입 물량은 급감했고, 유통향 물량은 사실상 소멸했다.
이에 힘입어 국내 제조사들은 조선사와의 가격 협상에서 약 2년 만에 인상에 성공했으며,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10월부터 유통향 공급 가격도 톤당 3만 원 올릴 계획이다.
열연강판의 경우, 지난해 12월 제소된 중국·일본산 반덤핑 조사에서 일본산에 최대 33.57%의 잠정 관세가 건의됐다. 예비판정 직전 중국산 수입은 급증했으나 이후 오퍼가 중단됐고, 대만·베트남·인도네시아산 열연이 대체재로 등장했지만 가격 경쟁력은 제한적이었다. 이 과정에서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연이어 유통향 가격 인상에 나서며 가격 정상화 기대를 키우고 있다.
권지우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보고서에서 “반덤핑 관세는 국내 철강 시장의 정상화를 위한 강력한 동인임은 분명하다”면서도 “향후 반덤핑 효과의 핵심 여부는 인도네시아 등 제3국을 통한 우회수출에 대한 정부의 효과적인 대응 여부, 건설 등 전방 산업의 수요 강도 등”이라고 밝혔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