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라도 내려도 안 이상해'…11월 철스크랩 시세 향방은
철근 등 제품 시황 부진에도 시중재고 부족 장기화에 국내 철스크랩 시황이 빡빡한 수급 균형을 이어가고 있다. 단기 고점에 따른 약세 전망과 그래도 당분간 강보합 균형 전망이 팽팽한 가운데 이번 주 시장 물동량 흐름에 귀추가 주목된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국내 철스크랩 가격은 경인·중부권과 남부권 모두에서 추석 전 대비 톤당 1~2만원 수준 상승했다.
주요 제강사들의 공식적인 가격 인상은 없었으나 제강사별 비공식 특별구매와 계약분에 맞춰 대상 하치장 매입단가가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추석 연휴 뒤 시중재고가 급감한 만큼 주요 대상들이 물량 확보를 위해 자체 인상에 나선 셈이다.

경인·중부권에서는 현대제철이 생철과 중량류를 중심으로 계약분을 유지하고 있으며, 환영철강공업의 경우에도 월말까지 예정됐던 전 등급 1만원 특구 인상을 무기한 연장했다.
동국제강도 추석 연휴 직후 선제적으로 철스크랩 가격 인하에 나섰으나 대상 하치장에 대해서는 인하 유예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남부권 역시 대한제강과 YK스틸, 한국철강 등의 비공식 특구 영향으로 시세 상단이 크게 오른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추석 연휴 뒤 철근 시황이 재차 크게 꺾이면서 철스크랩 추가 상승 심리도 빠르게 후퇴한 상황이다. 제강사들이 한정적으로 특구와 계약분을 통해 물량 확보에 적극 나선 만큼 단기 고점과 함께 약세 전망 관측도 하나둘 나오는 형국이다.
업계에서는 11월을 시작하는 이번 주 물동량 흐름에 촉각을 세울 전망이다. 월말 효과와 특구 영향으로 지난달 말 물동량이 한차례 크게 흐른 만큼 추가 물동량 확대 가능성에는 아직까지 회의적인 분위기다.
한편, 우리와 가까운 일본 시장은 엔화 약세로 추가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주 일본 관동 지역에서 철스크랩 가격은 경량류 H2 등급 기준 톤당 4만2,000엔~4만3,000엔으로 전주 대비 500엔 상승했다. 이달 들어 엔화 약세로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누적 오름폭은 월초 대비 총 3,000엔까지 확대된 모습이다.
이 기간 후나바시, 가와사키 등 도쿄만 주요 부두에서 H2 가격은 4만3,000엔~4만3,500엔(FAS)을 형성했다. 엔화 약세와 함께 빠듯한 수급 환경으로 일본 최대 전기로 제강사 도쿄제철도 수출 가격에 대응해 추가 인상에 나섰다.
도쿄제철은 지난 1일(토)부로 철스크랩 구매 가격을 관서 야드를 제외한 전 거점에서 톤당 500엔 인상한다고 밝혔다. 관서 야드의 경우 이미 전날인 지난달 31일(금)부터 1,000엔 인상을 적용했다.
이번 인상으로 도쿄제철 거점별 철스크랩 가격은 H2 등급 기준 △다하라 4만3,500엔(+500엔) △나고야 야드 4만3,000엔(+500엔) △오카야마 4만3,500엔(+500엔) △관서 야드 4만3,000엔(-) △다카마쓰 3만8,500엔(+500엔) △규슈 4만3,500엔(+500엔) △우쓰노미야 4만2,500엔(+500엔) △도쿄만 야드 4만3,500엔(+500엔)으로 상향 조정됐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