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업계, 日·中산 열연강판 잠정관세 부과에 제품價 인상 준비
정부가 일본과 중국산 열연강판(HR)에 대해 잠정 덤핑방지관세를 부과하면서 강관업계가 제품 가격 인상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정부의 잠정 덤핑방지관세 부과는 국내 철강업계가 글로벌 공급과잉과 저가 공세에 직면한 가운데 불공정 무역행위를 차단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책이다.
기획재정부는 고시 '제2025-39호'를 통해 일본과 중국산 열연 제품에 대해 오는 9월 23일부터 내년 1월 22일까지 4개월간 잠정 덤핑방지관세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무역위원회가 지난 8월 4일 제출한 예비조사 결과를 근거로 한 것으로, 국내 산업 보호 필요성이 확인됐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관세율은 일본 JFE스틸 33.57%, 닛폰스틸 31.58%, 기타 일본산은 32.75%로 책정됐다. 중국은 바오산강철 29.89%, 벤강 28.16%, 기타 주요 수출자 및 무역상에는 33.10%가 각각 부과된다.
수입재 방어는 국내 철강시장 보호뿐만 아니라 원자재를 공급하는 철강사와 원자재를 외부로부터 조달해 철강재를 생산하는 단압밀간에 협력 생태계를 구축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철강사는 국내 하공정 업계의 수익성 유지를 위한 가격 지원 정책을 지속하는 한편 수입량 감소로 국내 시장에 국산재 수요가 증가할 경우 수출 물량의 내수 전환을 통해 하공정업체에 안정적인 소재 공급을 보장할 수 있다.
이에 강관업계는 베트남산부터 대만산까지 중국과 일본 철강사가 아닌 대안 소재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산과 대만산의 HR 매입이 국산 제품과의 가격차이가 큰 이점이 없는 부분에서 매입 경쟁력이 이전보다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올해 강관 업계는 필수적인 제품만을 구매하고 제품 재고도 잔업과 특근을 줄이면서까지 타이트하게 운영하고 있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무리한 제품 판매 보다 적자판매를 하지 않고 있다.
강관 제품의 경우 차별화가 어렵고 구색이 다양하기에 수많은 중소기업 중심으로 생산 및 판매를 이어왔다. 이미 수년전부터 공급과잉이라고 할 수 있는 상황에 직면했지만 제품의 소재가 되는 HR, 용융아연도금강판(GI)의 인상과 인하에 따른 수익성 즉 제조마진의 수익이 아닌 소재마진의 수익으로 버텨왔다. 그러나 중국산과 일본산의 수입 HR 제품이 들어오지 못하게 되면서 소재마진에 따른 수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게 강관업계의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소재 가격 상승과 제품 공급 부족으로 인한 대내외 이슈와 환율과 제조원가 상승도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