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관) 공사비 상승에 강관 대체품 사용
건축 시장에서 원자재값 급등 여파로 공사비가 치솟으면서 건축 비용도 오르고 있다. 이에 건설 업계에서는 건축 비용을 줄이고자 대체 제품을 사용하거나 고급화를 위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건설사의 금융 측면에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의 리스크 분산 기능이 제한적이라는 점도 들었다. 신탁, 리츠 등 PF 외 자금 조달 방법이 활성화되지 않아 주택사업이 지연된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건설 시공사는 높아진 공사비용으로 인해 강관 제품 사용에서도 대체제를 찾는 경우가 늘었다. 컬러각관은 건축 인테리어 금속공사에서 토목가공부터 인테리어, 데크 등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특히 데크의 경우 아연도금 각관을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건축비용 증가에 컬러각관을 사용하는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또 전선관의 경우 나사 없는 전선관 등 박강전선관을 사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국내 시공현장에서는 주로 후강전선관이 거의 100% 사용됐다. 그러나 나사 없는 전선관 생산의 시작으로 국내 구조관 업계에서도 전선관 시장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구조관 업계는 하반기 대내외 경영환경 악화 속에 제조비용 상승으로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한 과열 경쟁으로 인해 원자재 가격 상승기에 제품 가격을 제때에 반영시키지 못한 가운데 연관수요 감소에 신규 매출처를 확보하는데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야드 고객센터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