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철강·조선·뿌리·車 등 주요 제조업 협단체와 ‘산업안전 간담회’
정부가 철강·조선·자동차·기계·뿌리산업 등 주요 제조업 협단체 관계자를 자리에 모아 안전투자에 대한 기업의 인식 제고를 요청했다. 정부는 철강협회 등 관련 협단체 등과 관련 실무 테스크포스팀(TF)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고용노동부는 지난 8일,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에서 한국경영자총협회와 제조업 업종별 협·단체에서 본부장급 관계자 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업 안전인식 제고 및 모범사례 공유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한국철강협회(강성욱 본부장)와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기계산업진흥회, 뿌리산업진흥센터 관계자 등이 배석했다.
이날 간담회는 정부 주도로,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재해율이 높을수록 기업생산성이 낮아져, 안전에 대한 투자가 결국 기업의 이익으로 돌아간다는 학계 연구결과가 설명됐다. 산업계에선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이상징후 감지 시스템 등 산업 현장 안전성을 높이는 모범사례를 공유했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발표된 모범사례가 산업계에서 적극 홍보 및 확산될 수 있도록 하겠고 기업들의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제조업을 비롯한 모든 업종에서 노동자 안전이 비용이 아닌 꼭 필요한 투자로 보고 안전성을 높이는 기업 스스로의 노력을 강화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한 이 실장은 정부도 제조안전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고, 산업단지 스마트 안전 솔루션을 보급하는 등 지원에 나설 계획임을 밝혔다.
노동부에선 김종윤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이 “비용절감을 이유로 노동자의 안전을 소홀히 해서는 결코 안 되며, 산업재해 예방은 노사 모두의 이익인 만큼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달라”면서 “올해가 산업재해 사망사고 근절의 원년이 될 수 있도록 노사와 업종별 협단체가 함께 책임감을 갖고 적극 협력해 달라”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부와 노동부는 업종별 협·단체와 실무 TF를 구성하여 산업현장에서의 안전투자 관련 애로 발굴·개선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철강협회 등도 관련 TF에 참여하여 업계 의견 전달 및 정부와의 산업보건 부문 협조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