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협회, 해상풍력용 강재 '국산화' 드라이브…품질 및 규정 정비 나서
한국철강협회가 국내 해상풍력용 강재의 적용 현황을 확인하고 문제점 파악과 글로벌 표준과의 일치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성장하는 철강 수요 시장인 국내외 해상풍력 부문에 맞춰 제도 및 기술 등을 정비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철강협회 수요개발실은 최근 『국내 해상풍력용 강재 품질관리 기준 개정 연구』를 수행할 기관을 입찰하는 공고를 냈다. 심사평가가 7~8월 내 종료될 예정인 가운데 올해 연말까지 연구가 진행되고 12월 최종보고를 받을 예정이다.
이번 연구 용역의 주요 과제는 ▲전기설비규정(KEC) 내 해상풍력발전용 소재의 적용 현황 및 문제점,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및 글로벌 기준 내 풍력용 강재 적용 사례 및 규정 분석 ▲ 해상풍력 하부구조물·타워 등 구조용 소재에 대한 기술요건 검토(EN규격 등 주요 사용 강재와의 성능 비교 등) 등과 같은 강재 적용 현황 및 기술적 검토 내용이 담겼다.
또한 ▲ 현행 ‘전기설비에 대한 세부 검사·점검기준(KESC)’ 내 풍력발전 설비 검사 시 강재 소재에 대한 확인 절차 미비점 검토와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 및 개정안 도출 ▲ KEC·KESC 기준개정을 위한 관계기관(전기협회, 전기안전공사 등)협의 및 기준개정 건의를 위한 일련의 활동 지원 ▲일본의 일본산업규정(JIS)&EN듀얼보증 시스템 사례 조사를 통한 BM방안 도출 등 연관 규정을 개정하는 작업도 주요 과제로 산정됐다.

정부의 제11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 따르면 2030년까지 국내 해상풍력 발전 규모를 18.3GW(2038년까지는 40.7GW)로 확대될 예정이다. 지난해 해상풍력발전 규모가 0.125GW 수준(전체 풍력은 1.9GW)에 지나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단기간 국내 시장에서 해상풍력 발전용 철강재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할 전망이다.
이에 해외 풍력발전기 업체 및 철강사들도 국내 해상풍력시장을 눈여겨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철강협회는 소재 측면에서 국산 강재의 적용 현황을 들여다보고 문제점 및 규정 개선에 적극 나서 소재 국산화 비중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이와 연관하여 협회는 지난 4월, 친환경에너지강재위원회의 명칭을 ‘철강풍력위원회(SWPC, Steel Wind Power Committee)’로 변경하고 풍력시장 성장에 적기 대응할 체제를 마련하고 있다.
철강풍력위원회의 올해 목표는 ‘풍력발전 산업에서 국산 철강재 적용 확대 우선’으로, 국내 풍력발전 산업 생태계 내에서 국산 철강재의 적용 확대를 통한 수요 기반 확충을 달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 풍력산업 공급망 강건화를 통한 철강 수요 창출, ▲ 풍력 기자재 및 구조물에 대한 표준·품질기준 시스템 구축, ▲ 철강소재·플랜트 제작 협력을 통한 신성장 동력 마련 등의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4월 위원회 출범식에서 김창수 위원장(포스코 에너지조선마케팅실장)은 “국내 풍력산업의 성장과 함께 국산 철강재의 전략적 적용 확대를 위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정부 정책과 보조를 맞추며 산업계의 실질적 수요 창출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 마련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철강협회 철강풍력위원회에는 포스코와 현대제철, 동국제강, 세아제강, 현대스틸파이프, 휴스틸, 넥스틸, 동양철관, 동국S&C, 창원벤딩 등 총 11개 철강사가 참여하고 있다. 위원회는 재생에너지 확대 흐름 속에서 국내 철강 산업과 풍력 생태계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한단 방침이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