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철강 미래는 에너지에' 對 정부 요구 심화

업계뉴스 2025-07-22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탄소 중립이 미래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적 가치로 대두한 가운데, 한국 철강 산업이 경쟁력을 잃지 않으면서 탈탄소화를 이루기 위해 합리적 전력 공급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산업 안팎에서 높아지고 있다.

14일 기획재정부 경제공급망기획관실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김경식 ESG 네트워크 대표는 철강 산업 탈탄소화의 미래는 기술보다는 에너지와 정치에 달려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수소환원제철 등 철강 탄소 중립을 위한 장·단기적 방안 모두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만큼, 경쟁력 있는 전력 공급 그리고 이에 관한 정부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그는 지난달 미국에서 열린 ‘글로벌 스틸 다이내믹스 포럼’(Global Steel Dynamics Forum)에 참석해 얻은 세계 철강업계 동향을 알리며 “많은 국가가 고로에서 직접환원철(DRI)+전기로(EAF) 제강으로 전환하고 있다”며 “저탄소 철강 기술은 에너지 문제와 직결되고, 미래엔 에너지 경쟁력이 곧 철강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퍼져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정부에 탈탄소화 시대 속 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해 그에 합당한 전력 공급 체계를 마련해달라는 철강업계 안팎의 요구가 점증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이날 기재부 관계자들에게 “재생에너지 전력의 저렴한 공급을 위해, 가장 비싼 발전원의 입찰가로 전기 도매가격이 결정되는 현 SMP(계통한계가격) 방식에서, 발전원별 발전 비용과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해 그 정도에 따라 가격이 책정되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날, 한국경제인협회(FKI)도 보고서를 내며 “철강 산업이 RE100 참가 기업들의 목표 달성 연도 평균치인 2042년까지 전력 소비 전체를 탄소 배출이 없는 전력으로 하기 위해선 원자력 발전을 무탄소 전력원으로 인정하고, 원전 이용률을 10%포인트(p) 높이고, 전력구매계약(PPA)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철강제조업계도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일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주최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손병수 포스코홀딩스 상무는 “수소환원제철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업과 원전 간 PPA를 허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책연구기관도 관련해 목소리를 냈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달 “비효율을 줄여 전기요금 인상 폭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병행하면서, 산업이 국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전기료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력 공급 합리화에 대한 요구가 커진 것은 글로벌 주요 지역 정부가 탈탄소화 지원으로 자국 철강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흐름과 궤를 같이한다.

유럽연합(EU)은 지난달 25일 ‘청정 산업 전환을 위한 국가 보조 지침 체계’(Clean Industrial Deal State Aid Framework, CISAF)를 도입, EU 회원국들이 2030년까지 철강 등 에너지 집약 산업에서 국제 경쟁에 노출된 기업에 전기요금의 최대 50%를 보조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놨다.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근거로 2030년까지 약 4,370억 달러 중 84%(480조 원)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산업 탈탄소화, 탄소 감축 인센티브 등 에너지 및 기후 분야에 사용한다. 김 대표는 “미국 최대철강사 누코어 등은 탈탄소화를 회사의 핵심 가치로 삼고 이를 지속적으로 천명하고 있다”며 “전기요금 보조, 세제 인센티브 등을 자국 정부에 꾸준히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 한국 정부도 탄소 중립이라는 과제 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에너지 정책을 내놓고 있다. 재생에너지 전력으로만 운영되는 RE100 산업단지 조성, 2030년까지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2040년까지 남해안, 동해안으로 에너지 고속도로 확장 등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철강업계가 주목하고 있는 원전에 대해서도 이전 민주당 정부와 달리 열린 태도를 가지고 있다. 정부는 원전의 완전 폐기가 아니라 기존 원전은 그대로 활용하고, 소형모듈원자로(SMR)와 같은 차세대 원전 기술 연구·개발도 병행한다는 입장이다.

정 연구위원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현 정부는 탄소 중립 추진과 실용주의를 동시에 표방하고 있고, 업계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계속 물어봐 줬기에, 지원도 분명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럽, 미국 등 주요국이 탄소 중립에 적극 나선 것은 자국 제조 기반 재구축과 함께 탄소중립으로 열리는 거대한 시장에 주목했기 때문”이라며 “글로벌 경쟁 패러다임에서 한국 산업이 선제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정책 목표와 이에 걸맞은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들 #목표 #달성 #평균치인 #2042년 #전력 #소비 #전체 #탄소 #배출 #하기 #위해선 #원자력 #발전 #무탄소
← 이전 뉴스 다음 뉴스 →

이야드 고객센터

location_on
신스틸 이야드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