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판] 잠정관세 효과 관망세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예비판정 이후 급등했던 국내 후판 유통가격이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최근 한 달 사이 톤당 7~8만 원가량 상승한 가격은 잠정관세의 본격 적용 이전까지는 현 수준에서 안정될 전망이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4월 중순 현재 국산 정품 후판은 톤당 90만 원 안팎에서 거래 중이며, 수입대응재는 80만 원 중후반, 중국산 수입재는 80만 원 중반대로 각각 형성됐다. 무역장벽 등으로 공급 구조가 달라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유통시장은 추가적인 가격 변동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24일로 예정된 정부의 잠정관세 부과 시점이 다가오면서, 유통시장도 향후 가격 흐름을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관세율이 30% 이상으로 확정되면 수입재 가격이 국산을 넘어설 수 있다”며 “시장 수요가 국산 중심으로 재편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실질적인 수요 회복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올해 국내 후판 수요는 지난해 780만 톤에서 700만 톤 초반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건설과 기계 산업의 투자 위축과 주요 프로젝트 지연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품 수요의 다수를 차지하는 건설업계의 위기도 여전하다. 최근 중소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부도 사례가 확산하면서, 철강업계는 수요 기반의 근본적인 회복 없이는 시장 반등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우려하고 있다.
한편, 철강업계는 2분기 후판 시황의 핵심 변수로 수입재 유입과 국산 수급 상황, 정부의 통상 대응 기조를 꼽고 있다. 잠정관세가 실제 유통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향후 가격 조정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