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EU 철강 관세 50% 시대…미국선 포스코·현대제철 4천억 부담, 유럽도 고율 입법 착수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잇달아 철강 수입 관세를 50%로 상향하면서, 한국 철강업계가 사상 최대 규모의 통상 리스크에 직면했다. 과거 환율·원가 변동이 주요 변수였다면, 이제는 관세·쿼터·원산지 규제가 구조적 리스크로 고착되는 흐름이다.
◇ 미국, 50% 관세 본격화…포스코·현대제철 부담 4천억 원
올해 6월부터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철강업계의 부담이 눈에 띄게 커졌다.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실이 포스코와 현대제철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두 회사가 올해 3월부터 12월까지 부담해야 할 대미 관세 총액은 2억8,140만 달러(약 4천억 원)로 추산됐다.

이 가운데 3~5월(관세율 25%)은 약 5,700만 달러, 6~8월(관세율 50%)은 9,040만 달러가 부과됐으며, 9~12월에는 상반기 실적과 평균 수출 물량을 기준으로 1억3,400만 달러가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올해 2분기 포스코(별도 기준 5,130억 원)와 현대제철(1,018억 원)의 영업이익 중 약 3분의 2가 미국 관세로 상쇄되는 수준이다.
한국철강협회는 하반기 대미 수출량이 상반기 대비 약 9%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에서 고착되며, 영업이익에 대한 복합적인 압박이 이어지고 있다.
◇ EU, “세이프가드 2.0” 추진…쿼터 절반 감축·관세 50% 인상 예고
EU는 10월 초 철강 수입 규제안을 발표하고, 무관세 쿼터를 전년 대비 47% 감축(3,053만t→1,830만t)하며, 초과 물량에 대해 기존 25%에서 50%로 관세를 상향하는 입법 절차에 착수했다.
또한 조강국가(melt and pour) 기준을 신설해 실제 생산국 증빙을 의무화하고, 원산지 세탁을 차단하는 조항을 포함했다.
해당 제도는 2026년 6월 세이프가드 종료 이후 시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한국을 포함한 FTA 체결국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업계는 “자동차·가전용 고급강까지 규제 범위가 확대될 경우, 수출 채널 자체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현재 업계는 품목·시장 다변화를 병행하며 대응책을 찾고 있다.
한편 지난해 기준 한국의 철강 수출액은 EU 44.8억 달러, 미국 43.47억 달러로 양대 시장 비중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반면 두 시장 모두 50% 관세 체제로 전환되면, 고부가 제품 위주인 한국산 철강의 경쟁력도 약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