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재) 수요 둔화에도 생산 감소·규제 미비로 수입 증가
비수기로 인한 국내 및 주요 수출국들의 건설 경기 침체, 주력산업 부진과 대외 여건 악화에 따른 국내외 선재 수요 둔화에도 국내 제조업체들의 생산 축소와 미비한 규제로 인해 선재 및 가공제품 수입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우선 수요 측면을 살펴보면 건설 부문은 아파트와 상가 미분양, SOC 투자 감소로 전년 대비 수요가 20% 이상 감소한 가운데 주요 수출국들의 건설 경기 침체도 장기화되면서 해외 건설 및 중장비 부문 또한 관련 수요가 전년 대비 20% 이상 급감하며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를 갱신 중이다.
제조업 부문은 반도체가 수출 호조로 인해 장비 부문의 수요가 유지되고 있으나 자동차와 조선은 수출 호조에도 전기차 및 LNG선박 비중 확대, 구매정책 변경으로 실제 수요는 소폭 감소하고 있으며, 주력산업 위기에 따른 설비 투자 감소로 인해 기계와 플랜트 부문의 수요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게다가 트럼프 2기 정부와의 관세 협상 타결에도 철강 부문은 기존 과세가 유지되는 데다 관련 파생상품의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해외 수요는 하반기에 더욱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이처럼 국내외 수요 감소가 지속되고 있으나 제조업체들의 국내 생산용량 축소와 미비한 수입 규제로 인해 중국산 저가 수입재 증가도 지속되고 있다. 한국철강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7월 선재 수입은 12만7,425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49.8% 증가했고, 중국산 수입은 10만2,521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3% 증가했다.
선재 및 가공업계에서는 최근 C커머스를 통한 가공제품 직구 수입 증가로 인해 국내 산업 생태계가 붕괴될 위기에 있다고 지적하고, 관세 부과 외에도 KS인증 정비 등을 포함한 종합적 수입규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