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철강업 고도화’ 종합대책 발표…‘금융지원·덤핑강화·R&D·범용재 조정’ 담겨
정부가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철강업에 대한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특히 금융지원과 덤핑방지 강화, 연구개발(R&D) 지원, 고부가·저탄소 체계로 전환, 범용재 철강의 대한 선제적 조정 지원 등을 집중 추진할 계획이다.
4일,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 서울청사에서 산업통상부, 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국무조정실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철강업과 석유화학업, 중소기업 등을 고려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에서 정부는 고율 관세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산업의 고도화를 지원하는 내용을 확정했다.
먼저, 철강 등 관세피해 기업을 대상으로 이미 발표된 이차보전사업, 긴급 저리융자 신설 등에 더하여 4,000억 원 규모의 수출공급망 강화보증도 추가로 신설하여 총 5,700억 원의 금융지원을 공급한다.
또한 덤핑방지관세를 제3국・보세구역을 경유한 우회덤핑까지 확대 부과하여, 불공정 저가 수입 철강재의 국내 유입도 최소화하기로 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특수탄소강 R&D 로드맵’을 연내 수립하여 2030년까지 10개 특수탄소강에 2,000억 원의 대규모 R&D를 지원할 계획을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수소환원제철 실증 기술개발, 철강 특화 AI 모델 개발 등을 통해 고부가・저탄소 전환에도 박차를 가한다. 특히 철근 등 범용 철강재 중심으로 선제적 설비규모 조정 지원도 병행해 공급과잉에도 대응할 계획이다.
구윤철 부총리는 “한미 간 관세협상이 타결되어, 우리 경제에 드리웠던 불확실성이 많이 해소되었다”라며 “어려운 시기였음에도 수출이 증가세를 지속하는 등 우리 기업들이 불굴의 저력으로 선방해 주면서 정부 협상에 힘을 보탰는데 이 기회를 통해 감사말씀 드리며 철강산업 등에 대한 고도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