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석포제련소, 지하수 확산방지시설 완공…물환경 보호 철벽 방어선 구축

영풍 석포제련소가 전 공장 외곽 약 2.5km 구간에 지하수 확산방지시설 설치를 완료했다. 국내 산업계 최초로 공장 전체를 차수벽과 차집시설로 감싼 사례로, 지하수를 통한 오염물질의 외부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낙동강 상류의 수질과 생태계 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풍은 1일 경북 봉화군 석포면 다목적 체육관에서 지하수 확산방지시설 준공식을 열고 설치공사의 최종 완공을 공식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임종득 국회의원, 박현국 봉화군수, 지역 주민, 영풍 임직원, 시공사 관계자 등 약 100명이 참석했다.
지하수 확산방지시설은 공장 외곽 2.5km 구간 전반에 걸쳐 지하 암반층까지 굴착한 후 차수 기능이 있는 시트파일(Sheet Pile)을 촘촘히 설치하고 그 안에 지하수를 모아 제어할 수 있는 차집시설을 구축한 구조다. 이는 제련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물질이 지하수를 따라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낙동강 수계 보호를 위한 환경 방어선으로 작용한다.
이번 확산방지시설 공사는 3단계로 나뉘어 순차적으로 진행됐다. 2020년 12월부터 2022년 8월까지 1공장 외곽 1.1km 구간에 약 260억 원을 투입해 1단계 공사를 마쳤고, 2023년 8월부터 2024년 6월까지는 3공장 외곽 440m 구간에 약 36억 원을 들여 2단계 공사를 완료했다. 마지막 3단계는 2023년 8월부터 2025년 9월까지 2공장 외곽 1km 구간에 약 170억 원을 투자해 마무리했다. 총 사업비는 약 466억 원이다.
차집시설에 모인 지하수는 하루 평균 약 300톤, 강우량이 많은 시기에는 최대 하루 1,300톤에 달한다. 지하수는 공장 내 정화처리시설을 통해 정화된 후 공장용수로 재활용 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지하수와의 완전 차단, 집수, 정화, 재활용이라는 폐쇄형 순환 구조를 갖춰 국내 산업 현장에서는 보기 드문 친환경 설비로 평가받고 있다.

영풍 석포제련소는 이외에도 다양한 환경개선 노력을 지속해오고 있다. 2019년 수립한 ‘환경개선 혁신계획’ 이후 매년 약 1,000억 원 규모의 환경예산을 집행했으며 2024년까지 누적 환경투자금은 약 4,426억 원에 이른다. 특히 2021년에는 세계 최초로 폐수 무방류 시스템을 도입해 연간 약 88만㎥의 공업용수를 절감하고 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전량 자체 처리·재활용하고 있다. 이 설비에는 약 460억 원이 투입되었으며 현재 특허 등록도 완료돼 관련 산업계의 벤치마킹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공장 전 구간의 바닥에 3중 차단 구조를 적용해 오염물질의 지하 침투를 원천 차단하고 있으며 오존 분사식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산소공장, 원격감시시스템(TMS) 등 첨단 환경설비를 도입해 대기 환경 개선에도 힘쓰고 있다. 이러한 환경 투자와 노력의 성과로 최근에는 제련소 인근 낙동강에서 수달의 서식이 확인되는 등 지역 생태계 회복의 긍정적 신호도 나타나고 있다.
영풍 관계자는 “이번 지하수 확산방지시설은 단순한 오염 차단을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영풍의 환경경영 의지를 상징하는 결과”라며 “앞으로도 세계적 수준의 친환경 제련소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