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 구원투수’ 뜬다…정부, 관세대응 바우처로 2천개사 지원“
산업부와 KOTRA가 미국의 관세조치에 대응해 수출기업 맞춤형 지원에 본격 나선다. 정부는 올해 추경으로 847억 원을 확보하고, 관세 피해가 우려되는 약 2,000개 기업을 대상으로 ‘관세대응 바우처’ 사업을 본격 시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4월 미국의 관세 부과 발표 이후 긴급 1차 공고에서 200개사 모집에 500개 이상이 몰리는 등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지원 대상도 대폭 확대됐다. 기존에는 미국에 직수출하는 국내 및 해외 생산거점 기업만 해당됐지만, 이번엔 간접수출 기업과 미국으로 중간재를 수출하는 업체까지 포함된다.

핵심 지원은 KOTRA 해외무역관을 통해 제공되는 '관세대응 패키지'다. 피해 분석, 대응 전략, 생산거점 이전, 대체시장 발굴 등 4개 분야 500여 개 서비스가 제공되며, 이번에는 해외 인증 지원도 강화된다. 특히 필수인증 조사부터 전략 수립, 사후관리까지를 아우르는 '해외인증 원스톱 서비스'와 의료기기·CBAM(탄소국경조정제도) 인증 등 특수분야에 대한 사전컨설팅도 새롭게 도입된다.
또한 인증 획득에 실패한 기업에 대해선 비용 보전 비율을 기존 50%에서 70%로 상향 조정한다. 상대적으로 피해가 크고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품목 관세 업종에 대해선 ‘패스트트랙’ 제도도 신설해, 선정 절차를 대폭 간소화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조치로 인한 우리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세 대응 바우처’를 마련했다.”라며 “산업부는 앞으로도 중기부 등과 협업해 기업 지원대상 및 규모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우리 수출기업 애로 해소를 위해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KOTRA는 5월 20일 이번 추경사업 관련 사업신청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하고 사업대상, 제출서류, 지원내용 등을 상세히 안내할 예정이다.
이야드 고객센터
경기 시흥시 마유로20번길 97